인하대 송도캠퍼스 좌초위기, 시민사회 조양호이사장 결단촉구

입력 2016-07-06 16:21
인천지역 시민사회가 인하대 조양호 이사장의 재단전입금 축소문제와 관련, 인하대 송도캠퍼스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혀줄 것을 요구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6일 인천평화복지연대(상임대표 강주수)에 따르면 인하대 재단법인은 송도국제도시 11-1공구 22만5000㎡(6만8000평)의 땅값 1077억 중 2만평에 해당하는 403억원만 내고 2만평만 매입할 수 있게 해달라고 시에 요청했다.

문제는 2만평으로는 캠퍼스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인하대는 이달말까지 송도캠퍼스 6만8000평에 대한 땅값 1077억원을 내지 못할 경우 위약금 100억원을 물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 단체는 이사회 산하에 (가칭)인하대학발전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대학 평균 전입금이 연 140억원 수준이어야 하는데도 연 80억원에 불과한 상황을 타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인하대가 송도캠퍼스 용지 매입에 갈팡질팡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언제는 용지매입 대금 을 10년으로 연장해 달라고 무리한 요구를 하더니, 이제는 일부만 매입하겠다고 나선 것은 문제가 많다”고 따졌다..

이에 대해 인천시의의원들은 “인하대 호주머니 사정에 맞게 매입하도록 해주는 것은 특혜”라며 “다른 대학에 매각하거나 산업용지로 용도를 바꾸는 등 대책을 세우라”고 인천시에 주문했다.

인천시도 원칙에 위배돼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시는 특혜 논란을 없애기 위해 인하대 송도캠퍼스 조성 예정지의 보존등기와 등기부등본이 나오는 이달말쯤 인하대에 계약이행 촉구 공문을 보낼 것으로 보인다.

이 단체는 “인하대의 재정난은 학생수가 줄어들면서 등록금 수입이 감소하고, 재단의 전입금도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인하대가 그동안 송도캠퍼스 용지매입에 투입한 약 400억 원은 인하대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것이었고, 한진재단은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인하대 학생들도 교육환경이 총체적으로 부실화 되고 장학금 등이 지속적인 비용절감 압박을 받게 됐다며 재단의 투자확대를 촉구했다.

인하대 교수회는 ‘최순자 총장과 정석인하학원 이사회에 고하는 글’에서 “학교발전의 장기적 청사진도 없이 열악해지는 교육환경으로 인해 우리 대학이 수도권을 대표하는 명문사립대학에서 일개 군소 지방사립대학으로 전락하는 것을 수수방관해 온 재단의 학교정책이 낳은 필연적 결과”라고 밝힌 바 있다.

인하대는 지난해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평가에서 B등급을 받아 패널티로 정원의 4%가 이미 감축되는 등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 인천지역시민사회는 “조양호이사장이 송도캠퍼스 건립에 소요되는 재정 4000억원의 투자를 약속하던지, 용현동 캠퍼스의 교사부족 문제 해결과 교수채용에 집중 투자하던지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