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해안경관을 저해하는 시설물이 단계적으로 철거되는 등 해안경관 관리가 대폭 강화된다.
제주도는 해안 일대 무분별한 개발 관행을 근절하고, 제주미래비전 가치 보존을 위해 해안경관 보전을 주요 골자로 하는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을 수립·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공유수면 관리지침은 공유수면 내 모든 개발사업의 경우 예외 없이 제주도와 협의 절차를 거치도록 했다. 해안경관이 훼손되는 사례가 없도록 철저히 관리하기 위한 조치다.
자연 암반지대의 영구보전을 위해 원상회복이 불가능한 암반지역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일관되게 공유수면 점·사용 허가를 불허한다.
도는 제주 전 해안에 대한 일제 조사를 벌여 경관저해 데크시설, 방치된 해안초소, 기타 무단시설물 등을 단계적으로 철거한다고 밝혔다.
체계적인 공유수면 관리를 위해 2017년 이후에는 제주미래비전 용역에서 제시한 ‘해안변 통합관리계획'을 수립·추진할 계획이다.
제주미래비전 용역은 수변·해양의 종합적 관리를 위해 ‘해안변 그린벨트’ 도입과 ‘사유화 및 경관훼손 해안변 기능복구'를 실천전략으로 제시했다.
해안변 그린벨트는 해안도로 건설로 조간대와 해안변의 생태계가 파괴되고, 인공호안 구축 등으로 해안변 소실과 연안해안 침식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청정 생태환경을 복원하기 위해 제시된 방안이다.
해안변 그린벨트의 공간적 범위는 기본적으로 지적경계선(포락지 포함)에서 해안도로까지로 정하되, 해당 해안변의 여건과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설정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공유수면은 제주미래가치의 핵심으로 보존이 대전제”라며 “해안경관을 최우선시하는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제주, 해안경관 저해하는 시설물 단계적으로 철거된다
입력 2016-07-06 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