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검사 사건 일파만파… “인격모독 진상 공개” 촉구

입력 2016-07-05 17:11 수정 2016-07-05 17:12
중앙일보 인터넷 기사 캡처

“김 검사의 사망은 일부 몰지각한 간부 검사들의 인격모독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진실을 철저하게 공개해서 그에 합당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사법연수원 41기 동기회는 5일 서울 서초구 서울지방변호사회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스스로 목숨을 끊은 김홍영(33) 검사의 죽음에 대해 철저한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41기 동기회는 기자회견 뒤 대검찰청 민원실에 이 같은 내용의 성명서를 제출했다. 성명서에는 실명을 밝힌 450명을 비롯, 총 712명이 참여했다. 41기 동기회는 “공무원인 동기 상당수도 익명으로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서울남부지검 형사2부에서 일하던 김 검사는 지난 5월 19일 자택에서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검찰은 “유서는 있다. 일이 많아서 힘들다는 취지다. 범죄 혐의점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41기 동기회와 유족은 김 검사의 자살이 단순한 업무 스트레스 때문만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당시 김 검사의 부장이던 김모(48) 부장검사의 폭언·폭행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었다.

김 검사의 어머니 이기남(57)씨는 이날 “지금까지도 유가족에게 한마디의 사과도 하지 않고 오리발만 내밀고 있는 인간이 바로 김 부장”이라며 “대검찰청은 김 부장을 해임하고 합당한 처벌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씨는 “서울남부지검장은 물론 검찰총장, 법무장관 역시 아들의 죽음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사과를 촉구했다. 김 검사의 동료가 추모사 중 “책상 위에 놓인 컵라면…”이라고 말하자 이씨는 한동안 오열했다.

이씨는 김 검사의 자살 배경이 ‘역량이 부족한데 업무 욕심을 부렸다’는 내용으로 소개되는 것을 접하고 “피를 토하는 심정이었다”고 했다. 언론을 통해 자살의 원인이 재조명된 이후에야 검찰이 심층 조사를 시작했다는 게 41기 동기회와 유족의 공통된 생각이었다. 41기 동기회장으로서 이날 성명서를 낭독한 양재규(55) 변호사는 “대검은 사건 초기부터 조사를 했다 하지만, 사건이 발생한 지 6주가 흘렀다”며 “대검 감찰본부가 그렇게 무능한가 생각했다”고 비판했다.

대검 감찰본부 역시 철저한 진상조사를 진행하고 합당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대검은 김 검사 본인이 사망한 상태이며 이후 공개된 휴대폰 대화내용 등도 한정적이라서, 김 부장검사의 책임 여부 등을 확정하는 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확대간부회의를 가진 김수남(57·연수원 16기) 검찰총장은 검찰 내 상사의 후배 지도 방법에 대해 발언했다. 김 총장은 “경험이 부족한 신임 검사, 신임 수사관 등 후배들이 어려운 검찰 업무에 빨리 적응해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잘 지도하고 교육하는 것이 상사와 선배들의 역할”이라며 “그러나 상사나 선배가 감정에 치우쳐 후배를 나무라거나 인격적인 모욕감을 주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사회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