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5일 북한 황강댐이 만수위에 접근하고 있으며 무단방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국방부가 북한의 ‘수공’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의 황강댐 무단 방류를 ‘수공’으로 판단하느냐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문 대변인은 “구체적인 정황 근거가 있어야 한다”며 “(현시점에서)수공이다. 아니다를 판단하는 것을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황강댐은 군사분계선(MDL)에서 북쪽 42.3㎞떨어진 곳에 있는 댐으로 저수량은 3~4억t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황강댐 방류시 우리측에 사전에 통보해야 함에도 기습적으로 방류해 피해를 준 적이 적지 않다. 황강댐에서 기습적으로 대량방류가 이뤄지면 임진강 하류인 연천군 일대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북한은 지난 5월에도 사전 통보 없이 두 차례 황강댐을 방류해 이 지역 어민들의 생계수단인 어구들이 떠내려가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한국 수자원공사는 황강댐 방류로 인한 임진강 수위 변화 측정이 가능한 필승교에서 실시간 수위를 측정하고 있다. 필승교는 남방한계선에 위치해 남측에서 임진강 수위를 제일 먼저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북한 황강댐 수공가능성
입력 2016-07-05 1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