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국회도 구태 여전-막말과 고성으로 얼룩진 대정부질문 결국 정회

입력 2016-07-05 15:52

여야는 5일 서로를 향해 삿대질과 고성, 막말을 주고받으며 구태를 재연했다. ‘협치’를 공언하며 20대 국회를 출범시킨 지 한 달여 만이다. 비경제분야 국회 대정부질문은 결국 파행을 겪었다.

김동철·이장우 격돌 끝 정회

발단은 세 번째 질문자로 나선 국민의당 김동철 의원이 황교안 국무총리에게 박근혜정부의 인사 정책을 추궁하는 과정에서 비롯됐다. “역량에 따른 인사”라는 황 총리의 답변에 김 의원이 ‘지역편중 인사’라며 호통을 치자 새누리당 의원들이 반발했다. 김 의원은 새누리당 의원들을 향해 “그 자리에 앉아있는 것을 한심하게 여기는 국민들이 있다는 것을 알라. 총리의 부하직원이냐. 한심하다”고 비난했다.

이어 대전 동구가 지역구인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에게 “대전시민은 어떻게 이런 사람을 국회의원이라고 뽑아 놨나. 제발 대전은 그런 사람을 뽑지 말아 달라”고 했고, 여당 의원석을 향해선 “저질 국회의원”이라고 막말을 해 사태가 확산됐다. 결국 오전 대정부질문은 정회했다. 오후 속개된 대정부질문에서 김 의원은 “저로 인해 본회의가 정회된 데 유감이며, 대전시민을 거론한 부적절한 표현에 대해 유감의 말씀을 드린다”면서도 “동료의원 발언이 거슬려도 야유 등으로 발언이 방해돼선 안된다”고 했다.

여야는 앞서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 질문 때도 충돌했다. 박 의원은 어버이연합 게이트 수사와 관련해 김현웅 법무부 장관이 구체적인 답변을 거부하자 “법무부 장관이 국회를 모독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의원들이 박 의원 발언을 문제 삼자 박 의원은 “(이 발언이) 문제라면 새누리당 의원들이 이성을 갖고 있지 못하다”고 했다. 그러자 여당 의원들은 “사과하라”며 고성을 쏟아냈다.

황 총리는 “어버이연합이 박근혜 대통령을 위한 보위단체냐”는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 질문에 “전혀 아니다”라며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시민단체”라고 답변했다. 박 대통령이 재의 요구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좋은 법이고 합리적인 법이라면 거부권을 왜 행사하겠느냐”며 “견제의 범위를 넘어 (국회가 정부를) 통제하겠다는 법안이며, 이런 법이 권력분립주의에 맞는지를 놓고 여러 의견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가습기살균제 국조특위’ 출범

여야는 가습기살균제 국정조사 요구서를 본회의에서 채택하고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특위는 새누리당 9명, 더민주 6명, 국민의당 2명, 정의당 1명 등 18명으로 구성됐으며 더민주 우원식 의원이 위원장에 내정됐다.

야 3당 가습기살균제 국조특위 위원들은 국회에서 첫 회의를 열고 국정조사 대상에 법무부와 검찰 등 사법기관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민주 홍익표 의원은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 등이 모두 국정조사 대상으로 포함됐고, 검찰의 늑장 수사에 대해서도 검찰과 법무부의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여당은 사법부를 국정조사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여야는 6일 국정조사 계획서를 본회의에서 의결할 예정이다.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참사 전국 네트워크 등이 전날 밝힌 피해 신고자는 3698명, 신고된 사망자는 701명이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