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기업, 수익성 성장성에서 中에 완패…영업이익률은 중국기업의 3분의 1토막

입력 2016-07-05 06:00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중국 기업이 경쟁력을 보여주는 수익성과 성장성 지표 등에서 한국 기업을 추월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5일 ‘한·중 양국의 기업경쟁력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4년 중국 전체 상장기업이 기업경쟁력 관련 8개 지표 중 영업이익률, 매출액증가율, 평균 자산규모, 특허출원 수, 평균 해외 인수합병(M&A) 금액 등에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07년과 2014년 양국의 상장 비금융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특히 평균 자산규모의 경우 중국기업은 2007년 6억3992만 달러로 한국 11억5348만 달러의 55% 수준이었지만, 7년 후인 2014년에는 15억704만 달러로 한국(14억6328만 달러)을 추월했다. 2014년 중국의 상장기업 매출증가율은 7.66%로 한국 3.39%의 2배에 달했다. 수익성 지표인 영업이익률은 한국기업이 2014년 2.42%로 중국(7.28%)의 3분의 1 수준에 머물렀으며 평균 해외 M&A 금액은 중국기업이 2014년 700만 달러로 한국 228만 달러보다 세 배를 넘었다.

우리나라는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비중이 2014년 4.11%로 중국(2.66%)을 앞섰고 해외매출비중과 노동생산성 정도에서 우위를 보였다.

한편 한국과 중국의 제조업 상장기업을 기술수준별로 분류하고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저기술·중기술 수준에 속하는 기업은 중국이 한국을 앞서고, 고기술·하이테크 기업도 중국의 추격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기술 수준 기업의 경우 2007년 8개 지표 중 중국이 6개, 한국이 2개가 앞섰지만 2014년에는 중국 7개, 한국 1개로 격차가 커졌다. 중기술 수준 기업은 2007년 중국 4개, 한국 4개로 양국이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2014년 중국 6개 한국 2개로 한국이 뒤쳐졌다. 한편 고기술·하이테크 수준 기업은 2007년 중국 3개, 한국 5개였으나 2014년 중국 4개, 한국 4개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한경연 관계자는 “중국기업의 추월에 대비한 우리정부와 기업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정부는 기업 상장(IPO) 활성화를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을 개선하며 기술개발투자에 유리한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