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에 머물고 있는 시리아 난민 270만명에게 ‘축복’이 내려질 수 있을까. 전쟁을 피해 터키로 피난한 시리아 난민은 터키에서도 온갖 눈총을 받으며 지내고 취직도 못한다. 아이들은 몇 년째 학교를 다니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런데 3일(현지시간) 터키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이 단비와도 같은 시민권 부여 문제를 언급했다.
미 CNN방송과 아랍권 매체 알자지라는 터키 현지 아나돌루통신을 인용해 에르도안 대통령이 터키 남부 시리아 국경도시 키리스에서 “정부부처 산하 사무국이 모니터링을 한 뒤 시리아 형제와 자매가 시민권을 획득할 기회를 부여하도록 해볼 것”이라고 연설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그는 구체적인 절차나 시기는 밝히지 않았다.
에르도안 대통령의 발언이 보도되자마자 시리아 난민을 받아들이는 문제를 놓고 엇갈린 반응이 쏟아졌다. 일부는 난민 속에 테러리스트가 섞여들어와 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를 내놓았다. 반면 젊은 난민을 시민으로 수용할 경우 경제붐을 일으킬 수 있다는 기대도 나왔다. 하지만 고학력 젊은층만 골라내는 ‘선별적 난민수용’에 나설 경우 비난이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터키가 난민들에 시민권을 부여할 경우 유럽이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터키인에게 EU내 자유왕래를 허락하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에르도안이 시리아 난민에게 시민권을 부여해 향후 선거에서 이들의 지지를 받으려는 시도가 아니냐는 의구심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