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이 곧 취업…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된다

입력 2016-07-04 10:00
입학과 동시에 취업을 보장받는 ‘사회맞춤형학과’가 대폭 확대된다. 대학 입학 단계부터 기업의 필요에 맞는 인재를 선발하고 길러내자는 취지다.
 교육부는 산업체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운영해 인력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청년 취업난을 완화하기 위한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 방안’을 4일 확정해 국무회의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지난 4월 12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된 ‘산학협력 활성화 5개년 기본계획’에서 사회맞춤형학과 확산을 기본방향으로 정한 뒤 대학 현장과 전문가 의견을 모으고 부처협의 등을 거친 결과다.
 2003년부터 대학과 기업이 다양한 형태로 자율적으로 시행 중인 채용조건형 계약학과와 1994년 영진전문대를 시작으로 운영해온 주문식 교육과정을 산업체의 요구에 더욱 적합하게 정비했다.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는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처럼 삼성전자 입사를 보장하고 삼성전자에서 현장실습을 거치며 삼성전자 전문연구인력이 전공 수업에 참여하는 식으로 운영되는 학과다. 주문식 교육과정은 국내 수입차정비업체들과 ‘NCS기반 취업약정형 주문식교육과정’을 개발해 수입차 정비 기술전문가를 양성하는 두원공대 자동차과 수입차정비전공 등이 해당된다. 지난해 기준으로 34개 대학, 73개 학과에서 1813명이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과정을 밟고 있다. 주문식교육과정은 64개 대학, 173개 학과에서 5608명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번 활성화 방안의 목표는 지난해 기준 총 7421명인 두 프로그램의 참여 학생수를 올해 8000명 내년 1만5000명으로 점진적으로 늘려 2020년 2만5000명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것이다. 채용조건형 계약학과의 연계 취업률을 90%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주문식 교육과정의 연계 취업률을 올해 40%, 내년 55%, 2020년 70%까지 끌어올리는 것도 목표다. 지난해 기준으로 채용조건형 계약학과의 연계 취업률은 91.4%, 주문식 교육과정의 연계 취업률은 32.6%였다.
 우선 ‘채용연계’를 사회맞춤형학과 운영의 핵심요소로 제시했다. 산업체 요구에 맞는 교육을 거친 학생을 졸업과 동시에 해당 산업체나 협력업체에 채용하는 식이다. 숭실대 LG디스플레이트랙 등이 대표적이다. 학생 선발부터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도 모두 산업체와 대학이 공동으로 진행한다. 산업체 전문 인력이 교수요원으로 참여할 수도 있다. 한동대 현대자동차 트랙의 경우 학생 선발에 신입사원 채용절차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는 식이다. 교재도 대학에서 현대자동차의 의사를 반영해 개발한 뒤 그룹 산하 ‘현대NGV'(산학협력전담)에서 교재의 현장 적합성을 검증해 마련한다.
 수도권, 대기업, 공학계열 편중도 해소할 방침이다. 사회맞춤형학과의 56.9%가 수도권에 몰려있고 상대적으로 대기업(36.9%) 참여 비중이 높고, 공학계열(70%) 위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대학은 ‘구인난’에 시달리는 지역 중소·중견기업과 파트너십을 형성해 사회맞춤형학과를 운영하게 된다.
 또 지역대학에 사회맞춤형학과 운영비용을 지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 지방자치단체, 경제단체 등과 연계해 참여기업의 발굴과 매칭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방자치단체와는 지역소재의 사회맞춤형학과 참여업체를 발굴하고 기업의 인력수요 조사를 바탕으로 지역대학과의 매칭을 지원하게 된다.
 참여기업에는 세제 지원과 함께 고용보험기금의 훈련비 환급 확대가 이뤄진다. 학생자원 감소, 정원 감축 등으로 생긴 대학 내 유휴시설을 사회맞춤형학과 운영 공간 및 기업연구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중·고등학교 단계에서부터 학생들의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자유학기제와 진로교육을 활용한다. 또 산업부의 산업인턴지원사업처럼 타 부처의 청년사업과 연계해 학생 참여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교육부는 기업의 사회맞춤형학과 참여 확대를 위해 세액감면을 골자로 하는 산학협력법 개정을 하반기에 추진한다. 내년에는 사회맞춤형학과 운영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재정지원사업도 추진할 방침이다. 대상 분야 역시 인문·사회, 문화·예체능 등 전 계열로 확대하고 석사급 연구개발 인력 양성을 위한 계약학과 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