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인구증가 등에 따른 차량정체 등 교통난을 해결하기 위해 교통혁신계획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도는 상주인구 100만명에 대비해 차량 총량제 도입 등 ‘제주교통혁신계획'을 수립했다.
교통혁신방안은 차량 총량관리 법제화, 간선도로 일방통행 실시 검토, 공영버스 공기업 전환, 공항연결 도시형 신교통수단 도입 검토, 대중교통 우선차로제 실시 등을 담았다. 또 이면도로 일방통행 확대, 주차공간 대대적 확충,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및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 불법 주정차 주야간 단속 및 견인조치 강화 등도 포함했다.
제주지역 자동차 등록대수는 2012년 이후 증가율이 연평균 10%를 넘고 있다.
지난해말 기준 제주지역 인구당 차량 보유대수(0.697대)와 세대당 보유대수(1.693대)는 전국 1위다.
승용차에 의존한 교통수단 분담률은 43.5%인 반면 인구 1000명당 버스 운행대수는 0.40대로 전국 평균 0.75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모든 차량 총량을 적정하게 수급·조절할 수 있도록 특별법에 법제화하고, 우선 렌터카와 전세버스에 대한 수급조절 권한이양을 6단계 제주특별법 제도개선에 병행해 추진한다.
도심 주요 도로의 원활한 차량 소통을 위해 제주시의 주 간선도로인 동서광로(5.2㎞)와 연삼로(6㎞) 일부구간 왕복 6차선 도로, 서귀포시 중앙로터리 기점으로 동문로·중정로·중앙로(1.7㎞)에 대해 일방통행을 실시한다.
도는 내년 8월1일부터 제주시와 서귀포시 공영버스를 공기업으로 전환해 통합·운영할 계획이다. 향후 교통수요 증가에 대비해 지방공사 설립도 검토한다.
교통체증이 심각한 제주국제공항 주변에는 자기부상열차, 모노레일, 트램 등 도시형 신교통수단 도입도 추진할 방침이다.
도는 혁신계획 추진을 위해 2년간 사업비 3000억원을 투입한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제주, 인구증가에 따른 교통혁신계획 추진
입력 2016-07-02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