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3당은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른바 ‘청와대 리스크’ 부각에 화력을 집중했다. ‘세월호 보도 축소압력 논란’ ‘서별관회의(비공식 경제정책조정회의)’ ‘어버이연합 자금 지원 의혹’ ‘현대원 미래전략수석 비서관의 제자 인건비 유용 의혹’ 등 주요 현안을 일일이 나열하며 책임을 추궁했다. ‘돌발 악재’로 궁지에 몰린 여당은 야당의 주장을 ‘정치공세’라며 반박했다.
야당은 1일 대통령비서실 업무보고 초반부터 세월호 참사 당시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KBS 간부를 상대로 보도축소를 요청한 녹취록 문제를 꺼내들었다.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은 이원종 청와대 비서실장을 향해 “이번 사건은 박근혜 정부의 ‘제2의 보도지침’으로 국민 앞에 사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이 전 수석이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 보도를 시청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그렇다면 박 대통령이 보도를 보고 이 전 수석에게 지시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며 해명을 요구했다.
이 실장은 “통상적인 업무 요청을 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는 “뉴스를 빼라고 한 건 ‘규제와 간섭’이고 방송법 위반”이라며 “업무협조라면 지금도 청와대 홍보수석이 하고 있다는 것 아니냐”고 추궁하자 이 실장은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고 물러섰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현 수석의 제자 인건비 착취 의혹에 대한 진상조사를 요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대통령을 모시는 수석이 그런 문제가 있다고 하면 비서실장은 진위 여부를 떠나 조사를 해서 그 결과를 국회에 얘기하는 게 비서실장의 예의”라고 따지기도 했다. 더민주 기동민 의원은 현 수석의 해임도 요구했다. 이에 현 수석은 야당의 의혹을 반박하면서도 “필요하다면 성실히 조사 받고 책임 지겠다”고 말했고, 이 실장은 “사실관계를 따져보겠다”고 했다.
대우조선해양 지원 방안을 논의해 ‘관치금융’ 의혹을 받는 청와대 서별관회의 역시 도마에 올랐다. 이 실장은 “요즘처럼 대내외적인 경제 여건이 복잡하고 힘들 때는 (주무장관이) 혼자 결정하는 것보다 관계 장관들이 함께 모여 종합적인 판단을 하면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회의”라며 “필요한 정도가 아니라 꼭 해야 하는 회의”라고 말했다.
어버이연합 문제로 공방도 이어졌다. 이 실장은 청와대 행정관이 어버이연합 집회를 지시했다는 의혹에 대해 “집회를 한다는 얘기를 듣고 그런 장소에서 하면 분란이 생길 수 있으니 장소를 잘 고려해달라는 염려를 했다는 얘기는 들었다”며 “(어버이연합이) 행정관 한 사람의 지시를 받는다든가, 지시를 따르는 경우도 없다”고 반박했다. 새누리당은 김정재 의원은 “언론사 뉴스만을 가지고 확대재생산을 해서 의혹을 제기 한다면 이거야말로 국회의원의 정부 길들이기, 국회의원 ‘갑질’”이라고 따졌다.
박승춘 보훈처장 해임촉구결의안 문제로 여야간 설전도 벌어졌다. 더민주 박완주, 국민의당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는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국가보훈처가 국론분열의 상징이 된 만큼 박 처장의 해임촉구결의안을 빨리 국회에서 처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새누리당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박 처장의 해임 이유로 거론된 6·25전쟁 66주년 기념 광주 호국퍼레이드의 제11공수특전여단 참여 계획을 언급하며 “이번이 처음도 아닌 데다 이 행사는 보훈처 주관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야3당, 운영위 전체회의서 청와대 리스크 집중 부각
입력 2016-07-01 1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