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가 북한 김일성 주석의 친인척을 서훈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국가보훈처는 29일 “김일성 친인척 김형권과 강진석의 서훈을 빠른 시일 내에 취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국가정체성과 국민정서를 고려해 상훈법 개정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보훈처는 김일성 친인척에게 독립유공자 서훈을 한 것에 대해 그간 “포상 기준에 맞는다”고 주장해왔다. 보훈처는 2010년과 2012년 광복절을 맞아 실시한 애국지사 포상에서 김일성의 친인척인 김형관과 강진석을 포함시켰다. 보훈처는 이에 대한 논란이 일었지만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었다.
박승춘 처장은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강진석의 경우 독립운동을 했고 광복 이전에 사망했기 때문에 애국장을 서훈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공산주의자들에게 서훈한 것은 적절치 않다는 논란이 일자 보훈처는 결국 국민 정서를 이유로 취소 결정을 내렸다. 보훈처가 김일성 친인척 서훈에 대해 충분한 협의 없이 결정한 뒤 입장을 바꾸는 경솔한 행동을 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보훈처는 입장자료를 통해 “독립운동 서훈에 대한 ‘새로운 공훈 심사 기준’을 마련해 국민정서에 맞게 심사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사회주의계열로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은 경우는 2007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은 박헌형 남로당 책임비서의 부인인 주세죽 등 5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국가보훈처, 김일성 친척 서훈 취소키로
입력 2016-06-29 1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