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이 28일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에게 ‘자진 사퇴’를 요구하며 면전에서 집중포화를 가했다. 박 처장은 “(자신은) 해임 결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맞섰다.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야당 의원들은 국회 본회의(7월6일)에서 박 처장에 대한 해임촉구결의안을 처리하겠다며 박 처장을 압박했다. 더불어민주당 민병두 의원은 “박 처장에 대한 해임촉구결의안 통과가 확실시되고 있다. 법적 구속력이 없다고 해도 국민적 상식으로 볼 때 표결에 순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회의 결정은 국민을 대신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국민의당 김관영 의원도 “박 처장이 사퇴해 국민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갖는 것이 타당하다”며 지원사격 했다.
박 처장은 강경한 자세를 고수했다. 그는 “저는 (국회) 해임 결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주어진 소임과 직책에 최선을 다해왔다. 제가 업무 때문에 사퇴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어 “많은 국민의 생각은 국회의 생각과 다를 수 있다”고도 해 야당 의원들의 강한 반발을 샀다. 박 처장은 또 국가보훈처의 정치적 중립성 논란 대응을 위해 변호사를 선임했다는 더민주 김해영 의원의 문제제기를 부인하는 과정에서 자료 출처를 추궁하는 야당 의원들과 감정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이날 국가보훈처 업무보고는 야당 의원들의 강력 반발 속에 서면보고로 대체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는 새누리당 의원들이 불참하며 파행했다. 당초 복지위는 누리과정(만3~5세 무상보육) 예산의 정부 편성을 명기한 영유아보육법 등 11개 법안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여야 간 합의 없는 일방적 상정이라며 이를 ‘보이콧’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도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활동 기간 연장 문제로 진통을 겪었다. 야당은 특조위 활동기한을 최소한 연말까지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은 “유감스럽게 생각하지만, 예산 배정일이나 시행령 제정 시점을 기산점으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반대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野, 정무위서 박승춘 보훈처장 맹공 등
입력 2016-06-28 1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