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은 일제히 28일 국회 정무위에서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의 자진 사퇴를 강력하게 압박했다.
더불어민주당 민병두 의원은 "상황이 이 지경이 됐으면 국민 통합을 염두에 둬서라도 이 시점에는 사퇴할 마음의 준비가 돼 있어야 되는 게 아니냐"고 했다.
민 의원은 "국회가 박 처장에 대한 해임촉구결의안을 통과시킬 게 확실시되고 있다"며 "비록 표결에 박 처장 거취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없더라도 사회의 일반적 상식이나 국민적 상식으로 볼 땐 표결에 순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관영 국민의당 의원도 "박 처장은 국민통합에 하등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국론 분열의 당사자로 지목되고 있다"고 공세에 나섰다. 김 의원은 "이 자리(정무위)에서 박 처장이 사퇴를 통해 국민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갖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조했다.
박 처장은 그러나 "저는 저에게 주어진 소임에 최선을 다해왔다"며 "제가 제 업무 때문에 사퇴해야 한다, 말아야 한다 그런 생각은 하지 않는다"고 발언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무산 등은 정당한 업무였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저는 (국회의) 해임 결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국회의 표결은 국회 결정에 맡기는 거고, 저는 제 임무를 성실히 수행할 따름"이라고 해임촉구결의안 표결에 개의치 않는다는 태도도 내비쳤다.
박 처장은 "(임행진곡 문제 등에 관해) 국민들의 생각차가 첨예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국회가 (저에 대한) 해임촉구결의안을 냈지만 많은 국민들의 생각은 국회의 생각과 다를 수도 있다"고 했다.
박 처장은 또 김해영 더민주 의원이 "해임촉구결의안에 대해 법률 검토를 했느냐"며 해임촉구결의안 처리 문제 및 정치중립성 논란에 관해 변호사를 선임해 대응했다는 의혹을 제기하자 "법률검토를 한 것에 대한 결과보고를 받은 기억이 없다"고 부인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