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이용시간이 1주일에 10시간 이상인 중·고생은 3시간 미만인 학생에 비해 비만 위험이 1.4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입시 부담·스트레스가 큰 고3의 비만 가능성은 중 1의 2.4배에 달했다.
가톨릭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정혜선 교수팀은 제주한라대 간호학과 이지선씨 등과 함께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지난 4월호에 발표한 논문(우리나라 청소년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내놨다. 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은 이 내용을 27일 공개했다.
연구팀은 질병관리본부의 2014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중·고생 6만9659명 대상)‘ 자료를 토대로 남녀, 학력, 학년, 스트레스 등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비만의 척도인 체질량지수(BMI)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다. 25 이상이면 비만에 해당된다.
연구 결과, 남학생이 비만이 될 위험은 여학생의 2.9배 높았다. 여학생의 자기 신체 모습에 대한 자각이 남학생보다 크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중1생에 비해 중3은 비만이 될 위험이 1.5배, 고3은 2.4배였다. 입시 부담으로 인해 학년이 높아질수록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고교생이 중학생보다 식사량이 많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 국내 중·고생의 주당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은 431분이었다. 15년 전인 1999년(52분, 한국청소년개발원 조사)보다 8배, 9년 전인 2005년(132분, 청소년보호위원회 조사)보다 3배 이상 늘어났다.
연구팀은 “비만 중·고생 2명 중 1명은 인터넷 이용시간이 주 420분 이상이었으며 주 600분 이상인 학생은 180분 미만인 학생에 비해 비만 위험이 1.4배 높았다”고 밝혔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인터넷 주 10시간 중·고생, 3시간 미만 학생보다 비만 위험 1.4배↑
입력 2016-06-27 1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