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24일 전체회의에서 ‘영남권 신공항’ 신설 대신 김해공항을 확장키로 한 정부 결정에 대한 여야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은 “송구스럽다”면서도 “‘김해신공항’으로 불러야 한다”고 맞섰다.
영남권 신공항 관련 여야 의원들의 성토에는 당적과 지역 구분이 없었다. 새누리당 주호영 의원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 6차례 용역연구에서 김해공항(확장이) 부적합하다는 결정이 내려졌다”며 “국민들은 김해공항 확장 발표에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정종섭 의원도 “이 문제를 지역이기주의로 치부해선 안 된다”며 “김해공항 확장이 불가하다고 해 신공항 논의가 시작됐는데, 이를 신공항이라 한다면 국민이 납득하겠느냐”고 지적했다.
야당 의원들은 박근혜 대통령의 입장표명을 촉구하는 등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은 “(정부가) 수년간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을 지지하는 주민과 지자체 간 갈등을 방치하고 조장했는데, 누구 하나 책임도 사과도 하지 않는 것은 무책임하다”며 “‘셀프 신공항’이라고 해도 무색하지 않은데, 대통령도 입장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 출신인 더민주 최인호 의원도 “박 대통령의 명백한 공약 파기”라며 “(김해공항 확장은) 소음민원이 증가하는 매울 신(辛)공항”이라고 꼬집었다.
앞서 최 의원은 국토부의 김해공항 ‘V자형’ 활주로 확장 방안이 2012년 부정적으로 결론이 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한국공항공사는 당시 한국교통연구원에 의뢰해 ‘V자형’ 활주로 확장방안을 검토했지만 최종보고서에서는 수용 불가로 결정됐다. 최 의원은 “국토부는 김해공항 확장방인이 이미 검토됐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처음 제시된 것처럼 신공항 홍보에 여념이 없다”고 꼬집었다.
강 장관은 업무보고 인사말에서 “(영남권 지차제들이) 앞서 합의한 대로 대승적 차원에서 승복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여야 의원들의 지적이 계속되자 “경쟁하다 탈락한 지역은 상당한 아쉬움이 남을 것 같다.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관제탑을 독립적 시설로 확보하는 것인 만큼 ‘김해신공항’으로 불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강 장관은 아파트 분양 시장 및 강남 재건축 시장이 과열되고 있다는 새누리당 김현아 의원의 지적에 “강남 재건축 시장 분양가에 거품이 있는 것은 인식하고 있다”며 “공급과잉 등 부동산시장이 지금보다 더 과열될 경우 한단계 높은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김해 신공항’ 난타전 벌어진 국회 국토위 첫 전체회의
입력 2016-06-24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