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영남권 신공항건설을 백지화하고 김해공항 확장안을 내놓자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들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 김영춘)은 ‘가덕신공항 무산 규탄 대회’를 22일 부산역광장에서 개최하고 대선공약을 파기한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했다.
이날 집회에는 가덕신공항유치추진위원회 위원장인 최인호(부산 사하갑) 의원을 비롯한 지역위원장과 더민주 부산시당 지방의원협의회 소속 지방의원 등 100여명이 참여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국토부의 이번 결정은 포화상태에 달한 김해공항의 대체공항 건설과 동북아 물류 허브도시 건설이라는 신공항 추진의 본질이 실종된 정치적 꼼수 결정”이라며 반발했다.
특히 “소음피해로 24시간 운영이 불가능하고 안전에 위험요소가 많은 김해공항의 근본적 한계를 제거하지 않은 채 공항을 확장하는 것은 위험을 더욱 가중시키는 어리석은 결정”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들은 “국민적 혼란만 가중시킨 불투명, 불공정, 부실한 국토부의 이번 용역 결과에 대해 규탄과 함께 당 차원의 진상조사단을 통해 그 진상을 명명백백히 밝혀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지역 10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가덕신공항추진범시민운동본부(공동대표 박인호)와 부산시도 이날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의 용역결과물과 국토부의 확장안 등에 대해 전문가들과 정밀 검토 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시와 시민운동본부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이전에 실시해야 할 김해공항 확장안 검토 용역 등에서 가덕도 확장안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김해공항의 문제가 안전성과 소음으로 인한 24시간 운항 불가였던 만큼 확장안을 만들더라도 이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거론돼 왔던 김해공항 확장안은 이 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가 없다. 김해공항의 기존 활주로와 어긋나는 V자 형태의 활주로를 만든다고 하더라도 소음 문제로 인해 24시간 운항은 불가능하다. 여기에다 김해공항 남단에 조성될 에코델타시티까지 감안하면 소음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가능성도 크다. 신공항 논의의 시작이 두 문제 해결이었던 만큼 김해공항 확장안도 이 문제 해결을 전제로 해야만 답이 나온다는 것이다.
이 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확장안을 광의로 해석해 김해공항과 가까운 가덕도를 민자 유치를 전제로 고려해 볼 수 있다는 것이 시와 시민단체의 입장이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더민주 ‘대통령 공약 파기 규탄대회’, 확장안에 가덕도 포함하라
입력 2016-06-22 1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