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무수단 미사일을 발사한 22일은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제26차 동북아협력대화(NEACD)가 개막한 날이었다. ‘미니 6자회담’으로도 불리는 이 행사에 북한은 6자회담 차석대표인 최선희 외무성 부국장을 파견했다. 핵협상을 담당하는 고위 외교관을 중국에 보내놓고 도발을 감행한 셈이다.
이런 행태가 처음은 아니다. 지난달 말 북한은 7차 노동당 대회의 경과를 설명하고자 이수용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을 중국에 보낸 당일에도 무수단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 지난 2월엔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평양에 도착한 날에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국제기구에 통보, 중국의 체면을 구겨놨었다.
이를 두고 북한이 ‘설령 대화가 열리더라도 핵과 미사일은 협상 카드가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국제사회에 전달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대미(對美) 평화협정 체결 요구와 대남 군사회담 제의, 이 부위원장의 방중을 계기로 한 북·중 관계 개선 등 일련의 유화 공세도 결국 ‘핵보유국’ 주장을 강화하려는 포석이란 얘기다.
이는 ‘비핵화 없이는 어떤 대화도 불가하다’는 한·미·일의 입장과 배치된다. 외교부는 대변인 명의 성명에서 “북한의 도발은 그간의 대화 제의가 기만적이고 위선적인지 국제사회에 스스로 보여준 것”이라고 했다. 존 커비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번 미사일 발사에 대해 유엔에서 우려를 표명하고 북한의 도발에 책임을 묻기 위한 국제사회의 의지를 다질 것”이라고 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일로서 (북측에) 단호히 항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도발이 최고인민회의 개막을 1주일 앞두고 이뤄진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북한은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이어 지난 4월 무수단 미사일을 세 차례나 시험 발사해 당 대회 전까지 핵 투발 능력을 과시하려 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김 위원장의 정부 직책 개편 등 이른바 ‘김정은 대관식’이 최종 완성되는 최고인민회의 전에 미완의 과제였던 무수단 발사를 성공시켜 이를 대대적으로 선전하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6자회담 차석대표 중국 간 사이 미사일 날린 북한
입력 2016-06-22 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