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든지 돈으로!… 정운호, 지하철 임대사업 전방위 로비

입력 2016-06-21 17:33
뉴시스

정운호(51) 네이처리퍼블릭 대표가 160억원을 투입한 서울 지하철 매장사업 성사를 위해 벌인 ‘전방위 로비’의 내막이 드러나고 있다. 사업 입찰 단계부터 감사원 감사, 계약 무산 위기 등 각 상황별로 현직 검사와 전관(前官) 변호사, 브로커를 동원해 로비를 시도했다는 게 검찰 판단이다.

서울메트로는 2009년 9월에 70개 지하철역사 안에 있는 100개 매장을 묶어 임대하는 ‘명품브랜드 사업’ 입찰공고를 했다. 정 대표도 입찰에 참여했지만 신생업체인 S사가 낙찰을 받았다. 정 대표 측은 서울시·서울메트로 등에 ‘입찰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민원을 내는 방안을 모색하다가 계획을 바꿔 2010년 1월 S사 지분 전체를 160억원에 인수했다. 정 대표는 같은 달 거물급 브로커 심모(62)씨에게 “100개 매장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 달라”는 청탁과 함께 20억원을 준 것으로 2012년 조사되기도 했다.

정 대표의 지하철 매장 진출은 2010년 4월부터 감사원이 비리 감사를 벌이면서 위기를 맞는다. 검찰은 정 대표가 감사원 감사를 무마하기 위해 박모(54) 부장검사에게 1억원을 준 혐의를 포착한 상태다. 브로커 이민희(56·구속기소)씨도 고위 공무원에게 로비해 명품브랜드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해주겠다며 2010년 8월까지 모두 9억여원을 챙겼다.

그러나 감사원은 그해 10월 S사가 허위 입찰서류를 냈는데도 특혜를 받아 사업을 따냈다며 S사 김모(58) 회장과 담당 공무원을 수사의뢰했다. 이에 따라 서울메트로는 2011년 6월 임대차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정 대표는 대검찰청 기획조정부장을 끝으로 옷을 벗고 막 개업했던 홍만표(57) 변호사에게 구원 요청을 했다. 그는 2011년 9월 “명품브랜드 사업에 차질이 생겼다. 해결해 달라”며 대관업무를 하는 지인을 통해 홍 변호사에게 2억원을 전달했다. 홍 변호사는 서울시와 서울메트로 고위층, 시의회, 감사원 관계자 등에게 로비해 달라는 정 대표 측 요청을 승낙한 것으로 조사됐다. 홍 변호사는 실제로 서울메트로 전 사장 등을 접촉했으나 로비에 성공하지는 못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사회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