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는 평소 국외에서 30~50% 넘어오고, 농도가 높을 때 해외 영향은 60~80%로 높아진다.” “국내 미세먼지는 수도권의 경우 경유차 29%, 전국적으론 공장 등에서 41% 배출하고 있다.”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국내 미세먼지 관련 주요 정보들이다(2016년 6월 3일 정부합동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 지상 관측소에 의존해 측정된 데이터가 바탕이 됐다. 하지만 미세먼지는 상공에서 다양한 화학 반응을 일으켜 지상으로 내려오므로 ‘장님 코끼리 만지는 식’ 측정이었다. 어디서 얼마만큼 배출되고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 호흡기에 영향을 주는지 부정확했기 때문에 미세먼지 대책도 겉돌 수밖에 없었다.
환경부는 미항공우주국(나사)와 공동으로 진행한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조사’를 성공리에 마쳤다고 21일 밝혔다. 나사의 첨단 장비들이 지난달 2일부터 지난 12일까지 42일 동안 한반도 상공을 헤집고 다녔다. 양국은 이번에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작업에 들어갔으며 내년 6월쯤 결과를 공개할 방침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물질이 생성돼 소멸하는 과정이 규명될 것으로 보인다.
나사가 동원한 핵심장비는 ‘하늘 위의 대기 연구소’로 불리는 DC-8 항공기다. 26대의 고성능 대기 관측 장비와 전문 인력을 싣고 150시간 동안 한반도 상공을 훑었다. 이 항공기는 수도권과 서해, 남해, 동해를 돌며 대기오염물질이 국가 간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광범위하게 조사했다. 특히 중국에서 넘어온 오염물질이 상공에서 어떻게 화학반응을 일으켜 백령도를 지나 수도권에 오는지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를 위해 서울 등 주요 포인트에서는 나선형으로 고도를 바꿔가며 입체적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했다. DC-8 항공기에는 국내외 27개팀 175명의 연구진이 탑승해 연구활동을 벌였다. 나사의 B-200항공기는 2019년 우리나라가 발사할 예정인 ‘정지궤도환경위성’을 검증하는 작업을 벌였다.
양국 연구진은 상당한 데이터를 축적했다며 만족해하고 있다. 공동조사에 참여한 한국외국어대 환경학과 이태형 교수는 “(한반도 상공의 대기질은) 캘리포니아나 LA, 뉴욕과 같은 미국 거대도시의 공기질과 흡사한 수준”이라며 “이번에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기질 개선의 ‘묘수’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교수는 미국해양대기청(NOAA), 미국국립대기연구센터(NCAR) 등의 미국 대기질 조사에 참여했던 연구진이었다.
특히 중국 등 주변국들이 한반도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이 규명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대기과학과 김준 교수는 “중국에서 (오염 물질이) 넘어오고 몽골과 러시아에서도 넘어오고 있었다. 러시아 산불은 봄이나 가을철 건조기 때 집중됐는데 한반도 대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도 확인됐다”며 “한반도 내에서도 서울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용인 등 경기 남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도경 전수민 기자 yido@kmib.co.kr
[사회뉴스]
☞
☞
☞
☞
“뉴욕 수준” 숨막히는 한반도, 나사 연구로 개선될까
입력 2016-06-22 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