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중국, 7월 중 고위급 인사 방북 가능성”… 리수용 방중 답방 성격

입력 2016-06-19 15:22

중국이 다음 달 중 고위급 인사를 북한에 파견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19일 제기됐다. 이수용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의 방중에 답례한다는 취지지만 그럼에도 북·중 관계가 급진전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기현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부산 노보텔 엠배서더 호텔에서 열린 ‘한반도 주변정세와 남북관계’ 세미나에서 “(이 부위원장 방중 당시) 대화할 시간이 너무 짧았고 주목할 만한 사건도 많지 않아 의례적인 방문이 아니었다 싶다”면서도 “중국이 북한에 답방을 할 것인가가 관전 포인트”라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2013년 5월 최룡해 당시 북한군 총정치국장 방중 후 같은 해 7월 리위안차오(李源潮) 중국 국가부주석이 방북한 사실을 언급했다. 그는 “리 부주석은 방북 때 북한 비핵화 및 북·중은 정상국가간 관계라는 메시지를 보냈다”면서 “올해 7월에도 만나게 되면 그 정도 수준일 것으로 본다. (중국이) 평화협정과 비핵화 논의를 병행하는 노선에 대해 타진을 해볼 것”이라고 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 부위원장의 방중에 대해 “(북·중이)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터닝 포인트’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각자의 이해관계, 입장을 서로 밝히고 만나보는 ‘탐색적 대화’ 수준의 상황”이라면서 “(중국은) 대북 제재를 유지하되, 북한과의 대화 채널 또한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암시한 것”이라고 했다.

최진욱 통일연구원장은 남북대화가 가능해지려면 북한이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중단을 약속한 2012년 2·29 합의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남북대화가 가능해지려면 북한이 한·미 합동군사훈련 중단 요구를 거두고 2·29 합의로 돌아가 핵동결과 인도적 지원을 맞교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원장은 “한·미 훈련 중단 요구를 수용하는 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으로 t수용할 수 없다”면서 “북한의 평화협정 주장 또한 한반도의 정통성과 한·미 동맹 와해를 노리는 것으로 비핵화 초기 단계에서 연계해선 안 된다”고 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