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내분에 착잡한 청와대

입력 2016-06-17 15:32

유승민 의원 복당 결정을 둘러싼 새누리당의 내분을 바라보는 청와대 시각은 복잡하다. 유 의원 복당이라는 민감한 사안이 청와대와의 사전 교감이 전혀 없이 ‘사후 통보’ 식으로 이뤄진 데 대한 불만과 이에 따라 앞으로 다시 한번 냉랭한 당청 관계는 불가피하다는 얘기가 나온다. 또 새누리당 혁신비대위의 승인을 뒤집을 수도 없는 만큼 청와대로서도 ‘불만이지만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기류도 읽힌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17일 “당이 이미 결정한 상황인데, 청와대가 공식적으로 어떤 언급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내부적으론 복당 결정 절차를 문제 삼아 “당이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느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지만, 정치적 논란을 확산시킬 것이라는 점에서 공식적인 대응은 자제하는 상황이다.

다만 청와대와의 한마디 상의 없이 이뤄진 만큼 앞으로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당청 간 허심탄회한 소통과 협력은 당분간 어려울 수 있다는 게 청와대 내부 분위기다. 특히 정진석 원내대표와의 ‘신뢰’ 고리가 약해질 수 있다는 게 상당수 청와대 인사들 얘기다. 4·13총선 공천 과정에서의 불거진 당청 갈등 국면을 넘어 20대 국회를 맞아 새로운 소통의 장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불거진 사태가 안타깝다는 반응도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제20대 국회 개원연설에서 노동개혁, 규제개혁, 기업 구조조정 등 국정과제 이행은 물론 북한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와의 공조 강화 등을 천명한 것처럼 다시 한번 국정운영에 탄력을 줘야 할 타이밍에 불거진 여당 내분이 달갑지 않은 탓이다.

1년 전 유 의원을 ‘배신의 정치’라며 강력 비판했던 박 대통령은 이날 공식일정을 소화했지만 정치 현안에 대해선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이 오는 21일 주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무회의 등을 통해 최근 현안들을 거론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지만, 이번 사태가 여당 내부사안인 만큼 대통령이 직접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