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대통령은 “IS(이슬람국가)나 알카에다 같은 테러단체를 격퇴하기 위해 모든 방법을 동원하고 있지만, ‘외로운 늑대(자생적 테러리스트)’의 출현을 막는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또다른 학살극을 막으려면 이제라도 의회가 총기규제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유족들은 ‘왜 이런 일이 끊이지 않는지’ 묻고 있다”며 “나이트클럽에 있던 피해자들 손에도 총을 쥐어주는 것이 대책이라고 주장하는 건 넌센스”라고 지적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다행히 미 의회가 총기규제를 위한 투표에 나섰다고 하니 올바른 결론이 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같은 시각 미 상원은 15시간의 '필리버스터(의사진행방해 목적의 무제한 토론)'를 거친 끝에 총기규제법안에 대한 투표를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민주당 소속 크리스 머피 상원의원은 총기규제 강화 법안 처리를 촉구하며 15일 오전 11시21분부터 단상에 올라 발언을 시작한 뒤 공화당으로부터 투표 방침을 확약받은 16일 오전 2시11분에야 필리버스터를 중단했다.
공화당이 입장을 선회한 것은 총기규제 여론이 비등해지는데다 공화당의 사실상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가 총기구입자의 신원조회 강화 등 총기구입을 까다롭게 하는 정도의 규제는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은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머피 의원은 2012년 12월 발생한 코네티컷 샌디훅 초등학교 총기난사 사건 이후 총기규제 강화 캠페인을 주도해왔다.
그는 이날도 필리버스터 도중 당시 피해자인 6살짜리 딜런 호클리의 사진을 걸어 놓고 공화당에 대승적 차원의 협력을 격정적으로 호소했다.
그는 "이 단상에 올라 2시간, 6시간, 14시간 무제한 토론을 이어가는 데는 별다른 용기가 필요하지 않다. 이 6살짜리 아이(호클리)의 팔을 감싸 안고 그의 죽음을 그저 받아들이는 대신 총격범의 눈을 똑바로 바라보는 데 오히려 용기가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상원에 계류된 총기규제 법안은 테러 감시명단에 오른 인물들의 총기구매를 금지하는 파인스타인 의원 법안과 총기박람회 및 인터넷 공간에서의 총기 거래 시 구매자의 신원을 의무적으로 조회하도록 하는 머피 의원 법안 2건이다.
공화당이 여론과 머피 의원의 필리버스터에 밀려 표결에 동의하긴 했지만, 법안 통과 여부는 장담할 수 없다.
공화당은 일단 표결에 앞서 자당의 독자적인 총기규제 수정 법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양당이 절충안을 마련해서 법안을 통과시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미 언론은 전망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