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경영비리 수사의 핵심 피의자인 남상태(66) 전 사장이 대우조선 손자회사에 차명으로 지분 투자를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남 전 사장은 이 회사에 각종 특혜 지원을 해 수익을 끌어올린 뒤 수억원의 배당금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지난 15일 구속영장이 청구된 남 전 사장의 대학 동창도 이 ‘짜고치기 사업’에 끼어들어 잇속을 챙겼다.
대우조선의 설계부문 자회사인 디섹(DESC)은 2009년 10월 법정관리 상태였던 대우로지스틱스로부터 물류·운송업체 부산국제물류㈜의 지분 80.2%를 매수했다. 남 전 사장의 대학 동창인 휴맥스해운항공 회장 정모(65)씨가 싱가포르에 세운 페이퍼컴퍼니 S사도 부산국제물류 지분 10%를 이때 매입했다.
부산국제물류는 2011년 7월 11월 2차례 걸쳐 80만주를 유상증자하는데, 싱가포르 소재 N홀딩스가 40억원을 투자해 80만주를 모두 인수했다. 제3자 배정방식의 이 유상증자로 N홀딩스는 지분 36.4%의 2대 주주가 됐고, 디섹의 지분율은 51%로 감소했다. 검찰은 N홀딩스가 유상증자 참여 목적으로 2011년 4월 급하게 만들어진 페이퍼컴퍼니인 것으로 보고 있다. 정씨가 설립을 주도했으며, S사와 사업장 주소가 동일하다. 남 전 사장은 문제의 N홀딩스 지분을 외국인 명의로 차명 소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10억원 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 최고경영자가 손자회사 격인 부산국제물류의 감춰진 주주가 된 것이다.
대우조선은 2010년 1월 기존의 9개 업체들과 맺었던 운송계약이 종료되자, 부산국제물류와 일괄 계약을 체결했다. 과거보다 10% 가량 인상된 운송비가 나가게 됐다고 한다. 이로 인해 남 전 사장이 재직한 2012년까지 약 98억원의 손실이 난 것으로 대우조선 측은 파악하고 있다. 대우조선은 2013년 12월까지로 돼 있던 물류센터 계약을 해지하고 2012년 1월 부산국제물류 측과 24% 인상된 가격에 물류센터 이용계약을 맺은 의혹도 있다.
이런 특혜적 조치 속에 부산국제물류 경영 실적은 가파르게 상승했다. 이 회사는 대우조선에 인수된 해인 2009년 22억여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지만, 2010년 42억원 흑자 전환한 것을 시작으로 2014년에는 100억원 가량의 순이익을 냈다.
부산국제물류는 2011년 이후 매년 주주들에게 15~42%의 고율배당을 실시했다. N홀딩스도 2011~2014년 모두 24억여원을 배당으로 챙겼다. 이 가운데 수억원이 숨은 주주인 남 전 사장에게 건네졌다는 게 지금까지의 수사 내용이다.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남 전 사장과 정씨가 오랜 기간 친분을 유지해 왔으며, 남 전 사장 재직 시절 사업 이득을 공유한 정황을 다수 포착했다. 정씨가 남 전 사장에게 거액의 뒷돈을 지속적으로 챙겨주는 등 일종의 ‘스폰서’ 노릇을 해왔다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16일 “정씨의 횡령·탈세 등 혐의는 대우조선 사업과 관련된 내용”이라고 말했다.
지호일 황인호 기자 blue51@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
☞
☞
☞
대우조선 최고경영자의 짜고친 스폰서 사업… 남상태 의혹
입력 2016-06-16 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