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16일 유승민 윤상현 안상수 강길부 의원 4인의 복당을 승인한 것은 비박(비박근혜)계 내부위원들의 주장이 관철된 것으로 풀이된다. 당내 비주류 대표 세력이자 여권 잠룡으로 평가받는 유 의원의 복당은 차기 당권 구도 재편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친박(친박근혜)계는 “탈당자들의 언행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며 차기지도부 구성 뒤 결정을 주장해 온 만큼 갈등도 예상된다.
혁신비상대책위원회는 복당 문제를 이날 처음 공식 의제로 올렸다. 친박 주류의 반대도 강했던 만큼 여권 내부에서는 비대위가 당일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으리라는 관측은 많지 않았다. 그럼에도 복당 문제가 2시간여만에 결정 된 것은 비박계 위원들의 논리가 먹혀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김영우 이학재 비대위원과 권성동 사무총장은 그동안 “복당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혁신을 얘기할 수 없다”며 일괄복당을 주장해왔다. 이날 회의에서도 일부가 선별복당 등의 주장을 내세워 만장일치 합의가 되지 않자 11명 비대위원은 무기명 투표로 복당을 결정됐다. 일괄복당을 찬성했던 3명 외에 다른 내부 비대위원들도 찬성표를 던졌다는 뜻이다.
비대위가 탈당자들의 일괄복당을 허용하면서 전당대회 구도도 일대변화가 예상된다. 유 의원의 경우 주요 현안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대립각’에 서며 자신의 목소리를 내왔다. 그는 복당소식을 들은 뒤 “국민이 원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보수의 개혁과 당의 화합을 위해 당원으로서 모든 것을 바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안 의원과 복당신청서를 아직 제출하지 않은 주호영 장제원 의원도 비박계로, 그동안 여러 차례 공천파동에 대한 불쾌감을 드러내며 ‘쓴 소리’를 내왔다. 총선 참패 책임론을 받고 있는 친박계로서는 전당대회 과정에서 ‘아픈 상처’가 다시 파헤쳐질 수 있는 셈이다.
여권 내 개혁세력으로 꼽히는 유 의원이 복귀하면서 ‘최경환 대세론’도 흔들릴 여지가 생겼다. 당 대표를 최고위원과 분리해 1인 1표로 선출하는 룰이 확정될 경우 당내 최대 계파인 친박계의 ‘표 단속’이 이뤄질 수 있다. 그러나 유 의원이 등장하면서 마땅한 주자가 없었던 비박계로서는 새로운 카드가 부상한 셈이다. 당권 도전 의사를 밝힌 친박 의원들이 출마의사를 접지 않을 경우 전당대회는 예측하기 어려운 다자구도 양상이 벌어질 수 있다. 비박계 일부는 당 대표 권한을 강화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 변경 역시 “제왕적 리더십을 키울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친박계는 패닉에 빠졌다. 한 친박계 의원은 “황당해서 말이 안 나온다. 복당 문제가 표결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냐”고 따졌다. 김진태 의원은 유 의원을 지목해 “당을 수렁에 빠뜨린 문제의 원조 진앙지”라며 “당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 모여 있는 곳인데 이런 분이 들어오면 단합이 되기는커녕 분란만 커진다”고 비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새누리당 탈당자 일괄복당 전격 결정 배경은
입력 2016-06-16 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