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일에 7번 이상 술을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3.5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박수경, 유근영 교수팀은 1993년~2004년 일반인 1만8863명을 대상으로 음주습관과 위암 발생 여부를 평균 8.4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31년 이상 음주를 한 사람과 주 7회 이상 잦은 술자리를 가진 사람은 술을 마시지 않은 사람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각각 1.5배 높았다.
연구팀은 또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 감염 여부에 따른 음주와 위암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헬리코박터균은 위 점막에 사는 균으로 위 점막을 위축시키고 방어 기능을 약화시켜 위암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위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이 균이 없으면 다른 요인이 위암에 주는 영향을 좀 더 명확히 알 수 있다.
분석 결과, 주 7회 이상 잦은 음주를 하는 헬리코박터균 비감염자는 술을 하지 않는 비감염자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3.5배 높았다. 또 한번의 술자리에서 알코올 55g 이상 하는 비감염자도 이 위험이 3.3배 높았다. 알코올 55g은 일반 소주(360cc짜리 도수 20%) 약 1병, 맥주 500cc 약 3병, 양주 약 3잔 정도를 말한다.
반면 헬리코박터균 감염자에게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헬리코박터균 자체가 위암의 원인이기 때문에 음주가 주는 위험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을 뿐, 음주의 영향이 없다는 뜻이 아니다.
박수경 교수는 “실제 감염자도 과도한 음주를 지속하는 경우 위암 위험이 높아진다. 헬리코박터균 감염 여부를 떠나 과한 음주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영국암저널’에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주 7회이상 술자리, 위암 위험 3.5배↑
입력 2016-06-16 1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