巨野 공세에 고심 깊어지는 여권

입력 2016-06-15 16:05

‘거야(巨野) 공세’에 여권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야3당 공조로 밀어붙이는 각종 청문회에다 세월호 참사 문제, 야권발(發) 개헌 논의 등으로 야당에 정국 주도권을 빼앗길지 모른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박근혜정부의 주요 정책 추진에 필요한 동력을 끌어올리기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새누리당은 ‘동시다발 청문회 정국’을 막는 데 사활을 걸었다. 야3당이 요구하는 5개 청문회 중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에 대한 것을 제외하고는 수용 여부를 검토하기도 어렵다는 입장이다. ‘정운호 게이트’ 관련 법조 비리 청문회에 대해선 일단 검찰 수사를 지켜봐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이 요구한 이른바 ‘서별관회의 청문회’에 대한 거부감이 크다. 여권 관계자는 15일 “청와대 건물 이름를 갖다 붙인 네이밍 자체가 대여 공세를 하겠다는 의미로밖에 안 보인다”며 “억측만 갖고 청문회를 열자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야당은 협치가 아니라 정쟁판을 만들려고 한다”는 격한 반응도 나왔다.

더민주 의원 8명은 이날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을 방문, 어버이연합 자금 지원 의혹 수사를 촉구하는 등 공세 수위를 한층 높였다. 야3당은 공동으로 이에 대한 청문회를 추진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 활동기간을 늘려야 한다는 야당의 목소리가 커지는 데다 더민주 출신 정세균 국회의장 등이 개헌 논의에 불을 붙이는 점도 새누리당으로선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정부·여당의 경제활성화 우선론을 덮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대야(對野) 강경 스탠스를 취하기는 어렵다. 과반 의석을 차지했던 19대 국회 때에도 핵심 법안 처리에 애를 먹었다는 새누리당 입장에선 여소야대 20대 국회에서 야당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4개월 넘게 중단됐던 고위 당·정·청 회의가 곧 재개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노동개혁 4법과 규제개혁 및 규제프리존특별법 등 정부·여당의 핵심 법안 처리나 기업 구조조정, 영남권 신공항 문제 등 산적한 현안 논의를 뒤로 미루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새누리당은 당분간 민생·안보 행보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김희옥 혁신비대위원장과 정진석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는 이날 경기도 오산 공군작전사령부를 방문, 장병들을 격려했다. 정 원내대표는 “북한의 핵, 미사일 도발 위협이 가중되는 심각한 안보 상황”이라며 확고한 대응 태세를 갖출 것을 당부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