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권신공항 갈등에 청와대 부담 속 침묵 "청와대 개입할 사안 아니다"

입력 2016-06-15 15:42

남부권 신공항 입지 선정을 앞두고 영남지역 갈등이 갈수록 증폭되면서 청와대 역시 고민에 빠졌다.

가덕도와 경남 밀양 등 후보지를 놓고 부산과 경남·경북·대구·울산 등 영남권 4개 시도 간 갈등이 지자체는 물론 여권으로까지 확산되면서 국정운영에 부담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특히 새누리당의 정치적 기반인 영남권 내의 갈등은 향후 여권 분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청와대로선 고민스런 대목이다.

청와대는 그러나 이런 상황에 언급을 극도로 자제하면서 거리를 두고 있다. 청와대가 어떤 식으로든 개입하는 모양새를 취할 경우 또다른 정치적 논란을 일으킬 수 있는 탓이다. 정연국 대변인은 15일 “드릴 말씀이 없다”고 했고, 다른 청와대 관계자도 “신공항 입지 선정 문제는 청와대가 개입될 여지가 전혀 없는 사안”이라고 잘라 말했다. 철저하게 경제논리에 따라 외국업체인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의 용역결과에 따라 입지가 선정된다는 의미다. 정부는 이미 용역업체의 발표 시 모든 평가항목과 평가기준을 투명하게 공개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박근혜 대통령도 2014년 9월 신공항 문제와 관련해 경제논리에 따른 추진, 평가기준에 대한 합의 등 원론적 차원의 언급을 한 적이 있다. 박 대통령은 당시 국무회의에서 “지역 간 경쟁 과열, 대립 등으로 갈등이 심화될 소지가 적지 않다. 관계부처는 타당성을 검토 중인 과정에서 갈등이 커지지 않도록 지자체 간 평가기준에 대한 합의를 먼저 이루고 결과를 수용한다는 원칙이 견지되도록 해달라”고 했다. 또 “경제논리 하에 논의를 추진해 나가서 국책사업 갈등방지의 선례가 되도록 해주기 바란다”고 주문했었다.

박 대통령은 오후 청와대에서 빈센트 브룩스 신임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을 접견했다. 박 대농령은 브룩스 사령관의 부임을 축하하고, 공고한 한·미동맹과 연합방위태세를 바탕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해줄 것을 당부했다. 지난 4월말 부임한 브룩스 사령관은 미 육군사관학교를 수석 졸업했고 1996년 주한미군 대대장으로 근무한 바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