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이주민의 급증에 따라 교육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제주도는 최근 ‘인구증가에 따른 제주미래비전 교육지원 정책' 토론회를 개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토론회에서 홍숙희 제주도평생교육진흥원 교육지원팀장은 제주지역의 인구변화 추이를 통한 교육지원 정책 재정립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제주 인구는 1987년 50만 시대, 2013년 60만 시대를 맞이한 이후 가파른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2016년 5월 30일 기준 65만명을 넘어섰다.
2010년 이후 귀농귀촌, 은퇴자 등 제주 이주 정착민이 급증하면서 자녀를 동반한 30~40대 인구의 증가세도 두드러졌다.
이러한 급격한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읍면지역 등 제주 전 지역 차원의 일상적 학습 참여기회 확대와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제주도내 학교 수는 총 316곳으로 유치원 117곳, 초등학교 112곳, 중학교 45곳, 고등학교 30곳, 특수학교 3곳, 국제학교 3곳, 대학교 2곳, 전문대학 2곳, 대학원 2곳이 있다.
하지만 중학교·고등학교가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 지역 중심에 다수 위치하고 있으며, 대학교 및 전문대학 3곳도 제주시 동지역에 집중돼있다.
생애주기 변화에 따른 생애 전환기 준비교육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는 평균수명의 연장과 정보화·지식기반 사회의 등장으로 제2의 중년기를 맞이하면서 인생의 가장 긴 시기인 성인기를 살아가는데 학습지체 현상의 극복과 성공적 삶을 위한 과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제주, 이주민 급증에 따라 교육기반 마련을 위한 정책적 대응 필요
입력 2016-06-15 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