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희귀 서적인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가 보물 지정 한 달 만에 경매에 출품돼 논란이 일고 있다.
미술품 경매사 K옥션은 보물 제1900호인 주역참동계가 오는 28일 개최되는 K옥션 여름경매 고미술 부문에 출품됐다고 12일 밝혔다. 추정가는 1억8000만∼2억8000원이다.
주역참동계는 세종 23년인 1441년 초주갑인자(初鑄甲寅字·1434년 갑인년에 만들어진 활자)로 찍은 유일본이다. 조선 초기의 도가사상과 장례 풍속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두 권으로 구성된다.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주역참동계로는 가장 오래됐다. 또 구텐베르크가 서양 최초의 금속활자로 42행 성서를 찍어내기 42년 전에 국내에서 금속활자로 간행한 책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도 높다.
이 주역참동계는 1998년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에 있는 조선 중기 관료 신언식(1519∼1582)의 무덤에서 복식과 함께 출토됐다. 소유자인 고령신씨 안협공파 종중회는 국립중앙박물관에 관리를 위탁했고, 보존처리를 거쳐 5월 초에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르면 국보, 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는 국제적 교류 목적을 제외하면 해외로 반출할 수 없다는 조항만 있을 뿐 매매에 대한 제약은 없다. 문화재 전문가는 “보물 지정으로 가치가 오르니 되판 것 아니겠느냐”면서 “문화재는 공공재적 성격을 갖는 만큼, 문화재 지정 후 일정 기간은 매매를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