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상임위원장 임기를 1년씩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새누리당 몫의 8자리에 대한 과열 조짐이 보이자 2년 임기를 쪼개서 절반씩 하자는 것이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10일 경기 과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워크숍에서 "전반기 8명 후반기 8명 총 16명이 상임위원장을 할 수 있는데 우리 당에는 3선 22명, 4선 2명 총 24명이 희망하고 있다"며 "24명이 다 소화하는 길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연구해보자"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위원장을 희망하는 사람들 간에 자율적 조율이 가장 좋고 중진급들이 나서서 조정, 대화를 이끌어주면 감사하겠다"며 "원내대표단의 목표는 표결까지 가는 걸 줄이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야당은 상임위원장 인선을 거의 마친 것으로 내부적으로 들었다. 표대결까지 가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도 오늘 내일 모레를 활용해 서로 입장을 잘 나누고 이해하고 좋은 출발을 국민들에게 보여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은 법사위, 기재위, 정무위, 미방위, 운영위, 국방위, 안행위, 정보위 등 총 8개 상임위원장을 배정받았다. 현재 24명의 희망자가 있는 상황에서 2년씩 16명이 하게 되면 8명은 위원장을 못 맡는 셈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일부 상임위를 둘러싸고 후보자들 간 과열 경쟁 조짐이 보이자 임기를 1년으로 쪼개 최대한 많은 의원들이 위원장을 할 수 있게끔 하자는 것이다.
정 원내대표는 이날 워크숍 도중 기자들과 만나 "의원들 간 조정이 제일 중요하다"며 "(1년 안에 대해) 의원들 간 조정이 되면 따를 생각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의견 조정이 먼저 돼야 한다"며 "조정을 해서 안 되면 민주적 절차에 따를 수밖에 없다. 경선을 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