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20대 국회 원 구성 협상을 마치자마자 구조조정 이슈로 격돌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야3당은 홍기택 전 산업은행장 폭로로 촉발된 대우조선해양 자금지원 관련 정권실세 개입의혹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며 정부와 청와대를 정조준하고 나섰고, 여당은 ‘정치공세’라며 일축했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10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홍 전 은행장의 ‘청와대 서별관회의’ 발언을 언급하며 “경제 논리가 아닌 정치논리로 엄청난 자금을 부실기업에 지원한 결과 4조원이 공중에 날아갔고 산업은행도 부실해졌다”며 “6월에 여야 협의로 문제점을 따지는 청문회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서도 “야당의 협조만 일방적으로 부탁할 게 아니라 구조조정 등 산적한 경제문제에 대해 국민들에게 설명하고 소상히 고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도 최고위원회의에서 “홍 전 은행장 폭로에 대해 (정부가) 아무런 액션을 하고 있지 않은 건 심히 유감스럽다”며 “박 대통령의 레임덕이 시작되고 있다는 게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주현 최고위원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수십조원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외압이나 특혜가 없었는지 분명하게 밝혀져야 한다”며 “구조조정 청문회가 우선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도 “그냥 넘어갈 문제는 전혀 아니다. 청문회가 불가피하지 않겠느냐”고 거들었다.
새누리당은 야당 주장을 적극 반박하며 정치 쟁점화 차단에 부심했다. 서별관회의 참석 당사자인 최경환 의원은 “회계장부에 안 나타났던 부실이 드러나자 채권단이 부랴부랴 모였고, 채권단끼리 (논의가) 안됐기에 우리가 조정을 해서 안을 만든 것”이라며 “과정상 절차를 거쳐 협의를 했다.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홍 전 회장이 ‘인터뷰 내용이 과장되게 나갔다’는 취지의 해명을 했다”며 “(야당의 청문회 주장은) 정치적 공세”라고 주장했다.
여의도연구원장을 맡고 있는 김종석 의원도 “정치권이 청문회를 운운하고 검찰 수사를 운운하면 할수록 구조조정은 더욱더 어려워진다”며 “일단 전문가들에게 맡기는 것이 필요하다. 정치권은 가급적 손을 떼라고 말씀하고 싶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원 구성 협상 끝나자 마자 구조조정 이슈 난제로 등장
입력 2016-06-10 1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