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들은 평화로운 세상에서 살아야 해요. 그러기 위해서 나는 지금도 여기에 서 있습니다. 내가 일본 정부에 요구한 것은 배가 고파 밥을 달라고 한 것이 아닙니다. 역사의 진실을 공개하고 솔직하게 잘못을 인정하며 우리에게 공식 사과하고 법적 배상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다시는 이런 전쟁을 하지 말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래서 나는 지난해 12월 28일 가슴이 아팠습니다. (‘정의기억재단’ 설립선언문 중 길옥원 할머니의 말)
‘일본군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은 9일 오전 서울 마포구 가톨릭청년회관에서 설립총회를 열고 “일본군성노예 문제의 범죄 인정, 공식사죄 등을 통해 피해 할머니들의 명예와 인권을 회복하고 역사교육과 추모사업을 추진해 미래세대가 이 문제를 올바르게 기억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등 시민단체는 지난해 12월 28일 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와 맺은 위안부 합의 무효를 주장해왔다. 정부가 일본정부 출연금 10억엔을 바탕으로 추진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가칭 ‘화해와 치유재단’) 설립도 반대하고 있다.
대신 지난 1월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전국행동’을 발족해 시민들로부터 후원금을 모으고 정의기억재단을 만들었다. 재단 이사장은 지은희 전 여성가족부 장관이 맡았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 6명이 고문으로 참여하며, 윤미향 정대협 대표 등 19명이 이사진으로 참여한다.
정의기억재단은 앞으로 △일본군성노예피해자 복지 및 지원사업 △일본군성노예문제에 대한 진상 규명과 기록 보존 및 연구 사업 △일본군성노에 문제에 대한 교육 및 출판사업 △일본군성노예 문제에 대한 국내외 홍보 및 모금 사업 △평화비 건립 및 추모사업 △전시 성폭력 피해 여성 및 아동 지원 사업 △미래세대를 위한 장학 사업 등을 할 예정이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