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0대 국회 개원일인 오는 13일 국회 개원연설에 나설지 주목된다.
청와대의 공식입장은 아직 결정된 바 없다라는 것이다.
그러나 역대 대통령들이 거의 매번 국회 개원식에서 연설을 했던 전례를 감안할 때 가능성이 높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9일 "개원연설은 아직 공식 요청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국회의장의) 요청이 오면 그때…"라고 말했다.
역대 대통령들은 전두환 전 대통령 이후 모든 국회 개원식에서 연설을 했다. 전 전 대통령은 11대(1981년)와 12대(1985년), 노태우 전 대통령은 13대(1988년)와 14대(1992년), 김영삼 전 대통령은 15대(1996년), 김대중 전 대통령은 16대(2000년), 노무현 전 대통령은 17대(2004년), 이명박 전 대통령은 18대(2008년)와 19대(2012년) 국회에서 개원 연설을 했다.
박 대통령의 선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도 6대(1963년)와 8대(1971년), 9대(1973년) 국회 개원식에서 연설을 했다. 7대(1967년)와 10대(1979년) 국회 때는 총리 대독으로 개원식 치사를 보냈다.
박 대통령이 개원연설에 나선다면 취임 후 다섯 번째로 국회를 찾아가 하는 연설이 된다. 박 대통령은 2013년 11월18일과 2014년 10월29일, 2015년 10월27일 각각 내년도 정부 예산안 시정연설을 했으며 올해 2월16일에는 '국정에 관한 국회연설'이라는 제목으로 4차 핵실험 등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국회 차원의 협조를 요청했다.
국회에 따르면 박 대통령이 다섯 번째 연설에 나설 경우 이승만 전 대통령(16회)과 박정희 전 대통령(7회), 전두환 전 대통령(6회)에 이어 역대 대통령 가운데 네 번째로 많이 국회에서 연설을 한 대통령이 된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