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정보보호 산업정책,‘창업과 해외진출’에 집중

입력 2016-06-09 11:05
정부가 정보보호 분야에서 2020년까지 글로벌 강소기업 10개를 육성키로 했다. 정보보호 수출규모도 현재 1조6000억원에서 4조500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8일 제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제1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가칭 : K-ICT 시큐리티 2020)을 수립·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미래부는 창업활성화 전략으로서 침해대응 시설, 인력 양성기관 등을 집적한 정보보호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글로벌 펀드 및 엑셀러레이터와 연계하여 유망 스타트업의 발굴에서 사업화까지 전단계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스타트업, 중소기업의 핵심 기술과 인력 확보를 위해 국제공동연구와 범부처 공동 R&D를 통해 지능형 보안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민간 이전을 확산할 계획이다.

 정보보호 투자확대 및 신시장 창출 전략으로서 공공부문의 정보보호 예산을 지속 확대하고, 민간의 정보보호 투자에 인센티브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유지보수비 외에 보안성 지속서비스 대가를 현실화하고 민·관 합동으로 불공정 발주 관행 해소 등 제값 주는 문화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의료, 에너지, 교통, 홈·가전·제조 등 5대 ICT 융합 제품·서비스 개발시 설계 단계부터 보안기능을 적용하도록 추진하고, 지능형 CCTV, 바이오인식, 스마트카드, 빅데이터 기반 영상분석 등 4대 미래유망 물리보안산업의 육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그간 내수 중심의 시장 구조를 깨고 글로벌 진출로 시장 확대를 추진한다.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고, 한국의 강점인 ICT 강국 위상 및 침해사고 대응 경험과 기업 주력품목을 결합한 “K-Security” 브랜드화를 추진한다. 아프리카, 중남미, 중동, 동남아 등 4대 전략거점을 중심으로 디지털포렌식, 침해대응모델 등 현지에 적합한 수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ICT 융합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가 사이버 침해대응 역량을 강화한다.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침해사고를 사전에 탐지·대응할 수 있도록 대응체계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공공 및 민간 기업간 사이버 위협정보 공유를 확대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업이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며, 국경을 초월한 사이버위협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미·중·일 등 주요국의 사이버 대응기관과 국제 공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정보보호산업을 창조경제의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집중 육성하여,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만드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