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내에서는 ‘입법부 수장’을 두고 4파전이 벌어지고 있다.
가장 유력한 후보는 6선의 정세균 의원이다. 호남(전북 진안) 출신인 정 의원은 4·13 총선에서 드러난 당에 대한 호남의 ‘비토’를 메울 적임자로 평가받는다. 성난 민심을 달래 정권 교체의 기반을 만들기에는 정 의원만한 카드가 없다는 게 당 내 중론이다.
정 의원의 가장 큰 경쟁자는 문희상(6선) 의원이다. 당내 주류인 친노·친문(친문재인) 그룹의 지지를 폭넓게 받고 있다. 문 의원은 당내 초선 의원들에게 서예로 사자성어를 써주거나, 의정활동을 안내하는 편지를 건네며 선거운동을 펼쳤다.
다크호스로는 이석현(6선)이 꼽힌다. 다음 대선을 위한 포석으로 친노·친문 그룹에서 정 의원을 향한 이탈표가 나올 경우 오히려 이 의원이 당선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있다. 이 의원 역시 초선의원을 대상을 자필 편지를 보내는 등 ‘선거 운동’에 공을 들였다.
5선의 박병석 의원은 ‘충청 대망론’의 당사자임을 자청하고 있다. 다만 최다선 의원이 국회의장을 맡던 관례에서 벗어나는 점은 찬반 양론을 일으키고 있다. 또 다른 후보였던 5선 원혜영 의원은 이날 경선 불참을 결정했다. 원 의원은 “선수나 연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국회의 오랜 관례를 감당하기에 여러 가지로 부족하다고 판단, 경선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더민주는 9일 오전 11시 당내 경선을 치른다.
새누리당과 국민의당이 한자리씩 맡게될 국회 부의장 역시 경쟁이 치열하다. 새누리당에선 당초 5선의 심재철 의원과 4선의 김정훈 이군현 의원이 부의장직을 놓고 물밑 경쟁을 벌였는데 이 의원이 뜻을 접어 양자 대결로 좁혀졌다. 비박(비박근혜)계인 심 의원은 당 최고위원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 등을 지냈다. 김 의원은 계파색이 옅은 친박(친박근혜) 인사로 국회 정무위원장과 당 정책위의장을 맡았었다.
심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그동안 의장단을 선출할 땐 선수(選數)를 중요시해왔는데 경선까지 가게 돼 안타깝다”고 했고, 김 의원은 “여당 내부는 물론 야당과 정부, 청와대와 두루 소통할 수 있는 사람이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국민의당에선 4선의 박주선 조배숙 의원이 나란히 경쟁을 벌이고 있다. 박 의원은 다당제 상황에서 국회 부의장 ‘역할론’을 앞세워 다양한 정치 경험을 내세우고 있다. 조 의원은 헌정 사상 첫 여성 부의장이 필요하다는 논리로 선거운동을 펼치고 있다.
강준구 권지혜 기자 eyes@kmib.co.kr
더민주 국회의장 4파전...정권 교체 이룰 적임자는?
입력 2016-06-08 20:06 수정 2016-06-0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