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8일 박원순 서울시장을 불러 긴급 정책간담회를 열고 서울지하철 구의역 스크린도어 작업자 사망 사고에 대한 신속한 수습을 촉구했다. ‘박원순 책임론’이 당과 대권 주자인 박 시장에 끼치는 악영향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국정조사, 청문회 개최 주장까지 나오는 등 박 시장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아픈 손가락’을 위한 출구전략을 마련한 것이다.
더민주는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서울시와 정책 간담회를 열고 구의역 사고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을 요구했다. 박 시장은 “이 사건에는 무조건 제 불찰과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고인과 유가족께 사죄를 드린다”며 “청년의 꿈을 지키기 못하고 초심을 잃은 데 대해 죄송하고 당에 누를 끼쳐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박 시장은 90도로 허리를 숙이며 사과하는 등 시종일관 ‘낮은 자세’를 취했다. 그는 이어진 비공개 회의에서도 참석자들의 질타가 이어지자 “당의 수치가 아니라 자랑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고개를 숙였다고 한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당은 박 시장 말을 그대로 믿고 이것이 계기가 돼 서울메트로에 대한 혁신이 이뤄질 거라고 믿는다”며 “박 시장께서 책임지시고 다시는 이런 일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 해달라”고 했다.
박 시장은 재발방지 대책으로 ‘진상 조사 뒤 책임자 처벌’ ‘안전 관리 업무 직영화’ ‘메피아(서울메트로+관피아) 근절’ ‘지하철 안전시스템 전면 재정비’ 등을 제시했다. 사고가 하도급 문제, 청년 일자리 문제 등과 연관이 있다고 보고 근본적인 처방을 찾겠다고도 했다. 그는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서울시 힘만으로 안 된다”며 “중앙정부와 국회의 도움도 절실하다”고 협조를 요청했다.
더민주는 구의역 사고에 대한 박 시장의 대처를 놓고 비판이 쏟아지자 그간 대응 수위를 고심해왔다. 당내 유력 대권 주자인 박 시장을 보호해야하지만, 그렇다고 이 문제 대처를 소홀히 경우 지지층 민심이 이탈할 수 있어서다. 고심 끝에 나온 게 이번 간담회다. 국민의당 일각에서 청문회 주장이, 새누리당에서는 국정조사 주장이 공개적으로 나오자 차라리 미리 간담회를 열어 박 시장에게 사과와 해명, 대책 발표의 자리를 만들어주기로 한 것이다.
이재경 대변인은 당이 ‘박 시장 구하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박 시장은 귀중한 분이고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분이라는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감싸서 될 문제가 아니다. 감쌀 일을 감싸야하는 것 아닌가. (간담회에서) 초기 대응에 대한 쓴 소리를 많이 했다”고 했다.
하지만 새누리당과 국민의당이 각각 국정 조사와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고 나선데 대해서는 “그것은 국회차원의 문제니까 나중에 말씀드리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사고 책임을 돌리는 듯한 발언이 나온 것에 대해서는 “그런 비판에 시간을 많이 할애하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문동성 고승혁 기자 theMo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고에 ‘아픈 손가락’ 불러들인 더민주
입력 2016-06-08 15:55 수정 2016-06-08 1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