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SW 여성인력 비중, 미국 영국 대비 60%수준

입력 2016-06-08 09:37
국내 소프트웨어(SW)분야 여성 인력이 선진국의 6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는 7일 발간한 'SW여성인력 현황 비교 분석'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SW 여성 인력 비중은 12.5%로 선진국 대비 60% 수준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국내 SW분야 여성인력 비중은 12.5%로 SW시장규모 상위 1,2위인 미국 22.9%, 영국 19.1%과 비교하여 7% 이상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4년 국내 SW분야 학위취득자 중 여성비중은 18.8%로, 2015년 SW여성종사 비중을 6% 가량 살짝 상회하는 수치를 보였다.

 SPRi는“이러한 결과는 비교국가에서 나타나지 않은 특이 현상으로, 향후 경력단절 문제 등의 해당 현상에 대한 정확한 요인 해석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W시장규모 2위인 영국의 경우, 2013년도 SW여성인력 비중이 14.5%에서 약 2년 동안 4.6%의 급속 성장을 보임에 따라 같은 기간 하락세를 보인 한국(14.4%→12.5%)·미국(24.2%→22.9%)과 대조를 보였다.

 영국은 초중등 SW교육 의무화를 최초로 시행한 국가이며, 유로연합 차원의 “Women in IT”정책을 통한 여성 SW분야 롤 모델 선정을 매년 시행함으로써, 여성을 대상으로 한 SW분야 홍보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김정민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SW여성인력 이탈현상 해결이 절실하며, 여성인력 비중을 높이기 위해 영국의 성공사례를 면밀히 검토해 국내 도입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SPRi는 보고서가 여성경제활동 참가율(미국 57.2%, 영국 62.8%, 한국 50.2%)과 여성 근로자 비중(미국 46.83%, 영국 46.85%, 한국 42.10%)을 감안하고 국내 SW직종 성비불균등의 상대적 심각성을 지적하는 자료로서, 여성 종사들의 환경 개선 움직임에 탄력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했다.

 SPRi는 이 연구에서 각 국가별 비교를 위해 각 국가 공식승인통계(미국 BLS, 영국 ONS, 한국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를 취합하여 국제표준직업분류체계(ISCO 08)에 매칭하는 형태로 해당 분석을 진행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