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이 해외 주둔지에서 전면 금주령을 내린 것은 다소 이례적이다. 주한미군에 의한 음주운전 사고가 적지 않았던 한국에서 이렇다 할 입장을 내지 않았던 것과도 다소 차이가 있어 이번 금주령이 미·일 동맹에서 달라진 일본의 위상을 보여준다는 해석이다.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주일 미 해군과 미 해군 7함대는 “각자의 행동이 동맹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든 장교, 병사가 확실히 이해했다고 사령관이 확신할 수 있을 때까지 금주령을 계속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미 해군은 또 소속 장병의 근무시간 이후 외출에 대해서도 자녀 마중 가기, 생필품 쇼핑 정도로만 제한했다. 조셉 어코인 제7함대 사령관은 “일본과의 중요한 동맹을 위기에 처하게 한 부정행위를 절대로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앞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달 27일 개막한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를 앞두고 가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오키나와 일본인 여성 살해 사건을 언급하며 철저한 재발 방지책을 요구했다. 과거 저자세를 취했던 모습과는 사뭇 다른 모양새였다. 폴리티코 등 미국 언론들도 ‘아베가 오바마를 공개적으로 꾸중하다’고 관련 소식을 전했다.
이러한 모습은 최근 중국과의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 등에서 미국의 가장 중요한 동맹국으로서 달라진 일본의 위상을 보여준다는 해석이다.
음주운전 사고에 대해 주한미군의 조치는 이와 사뭇 다르다. 지난해 12월 서울 강남구에서는 만취한 주한미군 상병이 차를 몰고 가다 폐지줍는 일을 마치고 귀가하던 60대 노인을 뒤에서 들이받았다. 그에 앞서 지난해 5월에도 서울 마포구 양화대교 인근에서 미군 상병이 음주운전으로 3중 추돌사고를 냈지만 미군 측은 두 사고에 대해 모두 이렇다 할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