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좌이동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이 551만명을 넘어섰으며 계좌변경신청은 501만건을 돌파했다고 은행연합회가 6일 밝혔다. 은행연합회는 이를 “우리나라 20세 이상 인구 4015만명의 14%가 조회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계좌이동서비스는 여러 금융회사에 등록돼 있는 본인의 자동이체 등록정보를 일괄 조회하면서 정보를 변경하거나 해지하거나 한 군데로 모으는 등의 작업을 돕는 통합 서비스다. 자동이체를 제공하는 대부분 금융회사가 참여하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서비스 시작 7개월 만에 성인인구 3%가 자동이체 연결계좌를 변경한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은행연합회가 보내온 ‘계좌이동서비스 변경신청 500만건 돌파’ 자료 전문. 이를 직접 담당하는 금융결제원, 은행연합회 이외에도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함께 이름을 걸쳤다.
Ⅰ 계좌이동서비스 이용현황
□ 변경서비스 시행 이후 7개월 만에(’15.10.30~’16.6.3) 551만명이 본인의 자동이체내역을 조회하였고, 501만건의 계좌변경을 신청하였음
ㅇ 우리나라 성인인구(20세 이상 총인구 4,015만명, ’15말)의 14%가 조회하고, 성인인구의 3%가 자동이체 연결계좌를 변경한 것으로 추정
현재 추세 지속시 금년말 변경신청 1천만건(성인인구의 6%) 상회 예상
□ 서비스 이용채널을 은행창구까지 확대한 3단계 시행 초기 1달간(’16.2.26~3.31)은 변경신청이 일평균 10만건 수준으로 집중되었고, 그 이후 2달간(4.1~6.3)도 일평균 4만건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음
ㅇ 요금청구기관 업종별로는 보험(39%), 카드(23%), 통신(16%), 기타*(22%) 순으로 변경신청이 많았음
* 지자체 공기업(지방세, 전기 가스 수도요금 등), 리스 렌탈업체, 유선방송 등
□ 자동이체 순유입은 하나은행(28만건), 신한은행(27만건), 기업은행(10만건)이, 계좌수(계좌이동서비스 대상 개인 수시입출금식 예금계좌 기준) 대비 순유입 비중은 경남은행(2.1%), 하나은행(1.3%), 부산은행(0.9%)이 높게 나타남
Ⅱ 계좌이동서비스 활성화 요인
1. 생활밀착형 서비스
□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카드대금, 통신비 등 자동이체 출금계좌를 손쉽에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은행선택권을 대폭 확대
* 계좌이동서비스 소비자서베이(‘16.2월): 인지도(70.9%), 유용성(80.0%), 신뢰도(72.7%)
2. 세계 최초 금융인프라 구축
□ 금융결제원과 각 은행은 5만여개 요금청구기관 관련 약 5억건의 자동이체라는 방대한 분량에 대해 1년 이상 전산연계 작업을 추진
계좌이동서비스가 가장 발달하였다고 알려진 영국보다 더 빠르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충분한 국제적 경쟁력 보유
* (이용채널) (한국) 온라인(PC, 모바일기기)+은행창구, (영국) 은행창구(온라인 이용불가)(변경 처리기간) (한국) 3~5영업일, (영국) 7영업일
3. 은행간 경쟁 촉진
□ 은행이 고객확보를 위하여 더 좋은 상품 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대고객 서비스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경쟁환경 조성
Ⅲ 향후 계획
□ (계좌이동서비스) 카드 보험 통신 3개 업종부터 시작(‘15.10말)하여 서비스 대상* 요금청구기관에 대한 연계 완료(’16.5말)
* 요금청구기관이 직접 자동납부가능 은행을 소수(1~3개)로 제한한 경우(예: 아파트관리비, 스쿨뱅킹)에는 소비자의 계좌이동서비스 이용이 부득이 제한됨
□ (계좌통합관리서비스) 본인명의 은행계좌를 한 번에 조회하여 불필요한 비활동성계좌를 해지 및 잔고이전할 수 있는 기능 추가(6월말 추진방안 발표(관계기관 합동), 12월 시행 예정)
끝.
[경제뉴스]
☞
☞
☞
☞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