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귀국... 산적한 국내현안 대처는

입력 2016-06-05 15:32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25일부터 이어진 12일 간의 아프리카 3개국·프랑스 국빈방문 일정을 마치고 5일 오후 귀국했다. 박 대통령은 귀국 후 외교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노동개혁 등 국정 현안 이행에 다시 한번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해외 순방 도중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로 야권이 강력 반발하는 등 냉랭한 정국이 조성된 것은 커다란 부담이다.

노동개혁과 일자리 창출 등 박 대통령의 최우선 국정과제 추진을 위해선 새롭게 출범한 20대 국회의 협조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야당과 각을 세우는 모양새가 되면서 정국 해법 역시 쉽게 도출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여야 원내지도부와 회동을 하면서 소통과 협력을 강조했지만 거부권 행사로 정국은 오히려 더욱 대치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야권은 어버이연합 등 현안에 대해 청문회를 추진하기로 하면서 대(對) 청와대 강공 모드로 전환한 상태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국민을 섬기고 나라를 위해 일한 국회로 기억되기를 바란다”며 20대 국회에 메시지를 보내는 등 ‘민생 국회’를 당부했으나 일단 꼬여버린 야권과의 관계부터 풀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된 셈이다. 야권의 반발에 이어 여당인 새누리당 역시 복잡한 내부사정으로 한동안 국정 뒷받침에 나서기 어렵지 않느냐는 관측도 나오는 상황이다. 일각에선 여야 3당이 임시 지도부 체제라도 형성된 만큼 박 대통령이 순방 성과를 설명하는 형식을 빌어 조만간 이들을 청와대로 초청할 수도 있다는 시각도 있다.

북핵 등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국제사회 움직임에 대처하는 일도 시급한 현안이다. 최근 이수용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의 중국 방문으로 한동안 냉각기를 이어갔던 북·중 관계에 다른 변화가 감지되고, 미국은 최근 북·중 양측 압박에 나선 상태다. 여기에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국 배치를 놓고 한·미·중 3국이 다시 한번 첨예한 이해관계를 드러냈다.

다만 박 대통령이 순방기간 링거를 맞으며 강행군을 소화하고 주치의의 ‘귀국 후 휴식’ 권고를 받은 만큼 귀국 직후부터 바로 공식일정에 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박 대통령은 해외순방 귀국길에 동행 기자들을 상대로 하던 기내간담회를 이번에는 생략했다.

박 대통령은 앞서 프랑스 마지막 일정으로 4일(현지시간) 그르노블의 에어리퀴드 연구소를 방문, 수소차 관련 설비를 시찰하고 친환경차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이어 이제르 도청을 방문, 42년 전 그르노블대학 유학시절 인연이 있었던 지인들도 별도로 만났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