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의원이 “나와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이 비슷한 처지”라고 말했다. 두 사람은 친박(친박근혜)의 본거지라 불리는 대구에서 각각 야당, 비박(비박근혜) 탈당파 신분으로 당선돼 단숨에 잠재적 대권 주자로 떠올랐다. 김 의원은 야권에서, 유 의원은 여권에서 ‘비주류’에 속해있다는 공통점도 있다.
김 의원은 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대 총선과 한국정치의 과제’ 포럼 기조연설에서 “유 의원이 성균관대 강연에서 헌법 정신으로 되돌아가자고 했는데 저도 그렇게 말한다”며 시대정신으로 헌법을 제시했다.
김 의원은 ‘헌법 제1조’를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해당 조항은 유 의원이 박근혜 대통령과의 갈등 끝에 새누리당 원내대표직에서 내려오면서 언급해 화제가 됐었다. 김 의원은 “헌법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는데 민주주의는 우리가 많이 말했지만 ‘공화국’이 뭔가. 우리가 함께 책임질 나라를 만들자는 게 아니냐”며 “형편이 어려워졌으니 각자 살아나가라고 하면 그건 우리가 합의한 나라 민주공화국이 아니다”라고 했다.
앞서 유 의원은 지난달 31일 성균관대 강연에서 헌법 제1조에 들어있는 ‘민주공화국’을 얘기하며 새누리당 친박세력을 겨냥한 바 있다.
야권 일각에서는 지역구 국회의원인 김 의원이 헌법을 인용하며 민주주의와 공화국 등 거시적인 정치 담론을 꺼낸 이유로 빨라진 ‘대선 시계’를 꼽고 있다. 야권의 잠재적 대선주자인 박원순 서울시장과 안희정 충남지사가 대권 도전을 시사하는 발언을 하며 발빠르게 움직이자 김 의원도 조기 대선행보에 나섰다는 뜻이다. 최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대권 도전을 시사하는 발언을 해 야권 인사들을 조급하게 만들었다는 해석도 나온다.
김 의원은 4·13 총선 결과에 대해서는 “변화를 만든 건 국민이다. 대구 시민이 그간 얼마나 낙담했으면 돌멩이 대신 종이돌멩이를 던져 한국이 변해야 한다는 절박감을 전달했겠느냐”고 설명했다. 이어 “국민이 우리에게 운 좋거나 힘 있거나 돈 많은 사람만 위하는 나라가 아니라 최소한 국민이라 행복해질 권리, 내 가족을 내가 지탱해줄 권리, 우리 아이들 미래를 설계할 기회를 달라는 요구를 투표로 나타낸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승혁 기자 marquez@kmib.co.kr
더민주 김부겸, 대선 전초전?… "나랑 유승민 처지 비슷" 헌법 제1조 강조하며 강연 정치 나서
입력 2016-06-04 1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