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카카오톡 사용하면 간첩 혐의로 현장 체포” 특명

입력 2016-06-03 16:56


북한이 최근에는 핸드폰 메시지 서비스(카카오톡, 라인, 위챗 등)를 사용하는 주민들도 간첩 혐의로 현장 체포하라는 지시가 하달됐다고 북한전문매체인 데일리NK가 3일 보도했다.

북한 당국이 최신 전파탐지기를 이용한 단속 강화에 주민들이 통화 위치 추적을 피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사용할 것이라고 보고, 이를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고 데일리NK는 전했다.

한 소식통은 “최근 카카오톡, 라인 등을 사용하는 주민들을 반역자로 현장에서 바로 체포할 데 대한 지시가 내려왔다”면서 “(이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주민들은 절대 용서하지 않는다는 으름장도 이어졌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최근 단속에 걸리면 단속원(보위원, 보안원)의 결심에 따라 사건처리가 되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까지 가면 꼼짝없이 적선(敵線) 연계 간첩혐의로 (정치범)수용소에 끌려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이 카카오톡 등 핸드폰 메시지 서비스에 관심을 두게 된 것은 2014년 5월경부터다. 당시 중국 핸드폰을 지속적으로 사용한 한 주민이 체포됐고, 수사 과정에서 카카오톡을 통해 ‘정보’가 오고간 사실을 포착했다고 한다.

소식통은 “당시 (당국은) 이를 ‘간첩 사건’으로 규정하고 엄중히 처벌할 것에 대한 지시를 내렸다”고 전했다.

이후 핸드폰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기 시작했고, 라인과 중국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위챗도 감시 대상에 포함했다. 그는 “이제는 주민 강연에서 카카오톡과 라인을 직접 언급할 정도”라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