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참패 후 50일간의 진통 끝에 가까스로 첫발을 뗀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3일 첫 회의를 가졌다. 비대위원들은 비장한 각오로 거침없는 쇄신을 다짐했지만 당 안팎의 기대 수준은 높지 않다. 혁신비대위가 될지 관리비대위에 그칠지는 ‘복당 문제’라는 선결과제를 어떻게 풀어낼지에 달렸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견해다.
국립현충원을 참배한 후 여의도 당사에서 회의를 주재한 김희옥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국민이 새누리당에 주신 마지막 기회로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며 “당이 바뀌는 모습을 국민이 느낄 수 있도록 최대한 신속하게 혁신 작업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지금 국민이 너무 힘들어하고 있다”며 “새누리당이 새롭게 태어나지 못한다면 대한민국과 국민을 보듬고 챙길 정당은 없다는 각오로 비대위를 운영할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비대위의 3대 활동목표로 ‘혁신·민생·통합’을 제시했다.
이학재 비대위원은 “친박(친박근혜), 비박(비박근혜) 찾다가 ‘쪽박’찼다”는 글귀를 소개하며 당내 계파갈등을 혁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5명의 외부위원들은 ‘외부의 상식과 정서’(민세진 비대위원), ‘현장의 목소리’(정승 비대위원) 등을 강조했다. 오정근 비대위원은 “경제가 어려운데도 집권여당이 계파싸움으로 국민에 다가가지 못하고 총선 참패를 자초한 데 대해서 국민이 느낄 수 있는 진정성 있는 사과, 철저한 자기반성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는 7일부터 1·2분과로 나눠 혁신 논의에 돌입하는 비대위는 유승민 윤상현 의원을 비롯한 탈당파 의원들의 복당 문제도 조만간 결론내겠다고 밝혔다. 지상욱 대변인은 비대위 회의 후 브리핑에서 “복당 문제는 가부를 떠나서 조속한 시일 내에 논의키로 했다”면서 “혁신비대위에서 복당을 허락한다든지, 불가한다든지 가부간에 결정이 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주류인 친박계가 복당 허용 문제는 전당대회에서 선출되는 차기 지도부로 넘겨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어 비대위가 조속한 결정을 내리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당내에선 비대위가 총선 참패에 대한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에 착수한다지만 시간이 부족한 데다 권한도 제대로 부여하지 못해 혁신 작업이 흐지부지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당 관계자는 “계파에 이해관계에 맞춰 비대위원 인선이 이뤄졌고, 활동 시간도 2개월도 채 안돼 결국 역할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새누리당 혁신비대위, 비장한 각오를 밝혔지만...
입력 2016-06-03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