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해파리 선제대응으로 어업피해 최소화한다

입력 2016-06-03 09:35
경남도가 해마다 수천억 원의 어업피해를 발생시키는 해파리 퇴치를 위해 어업인 참여형 방제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피해방지 대책 마련에 나섰다.

경남도는 전국적으로 매년 763~2290억원의 어업피해를 발생시키는 해파리 발생 주의보가 2일자로 도내 고성·자란만 일원에 발령됨에 따라 피해방지 대책반을 본격 가동한다고 3일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의 해파리 출현량 조사결과에 따르면 현재 보름달물해파리의 성체가 고성 자란만에서 밀집 출현하고 있어 6월부터 본격적으로 주변 해역으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노무라입깃해파리는 동중국해에 소량 출현해 국내 유입량은 적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해류의 흐름이 우리나라 연안으로 강하게 형성되는 경우 유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경남도는 위기경보 관심 단계부터 해양수산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대책반을 구성·운영하고 도내 어촌계장 451명을 대상으로 해파리 절단 처리방법 및 응급대처법 등에 대해 특별교육을 한다.

또 어업인과 자율관리공동체가 참여하는 민?관 합동 모니터링 강화와 위기경보발령 시 어업인 자율처리 캠페인 전개, 매주 수요일 해파리 집중 예찰 및 방제의 날을 지정·운영 한다.

도에서는 해파리 피해방지를 위해 국비예산 7억 5000만 원과 절단망 등 구제장비 5종 110점을 확보해 방제작업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해파리를 뿌리부터 제거하기 위해 3억 원을 투입한다.

특히 고성·자란만 일원의 부착유생 제거와 성체의 효과적 제거를 위해 올해 신규로 수매사업과 무인방제선을 이용한 해파리 제거작업을 도입, 어업인들의 피해가 발생치 않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