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카카오톡 대화창에서 주고받는 인터넷 주소를 무단으로 수집해 다음 검색에 연동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관련 내용 파악을 위해 2일 카카오 관계자와 면담을 갖는 등 정황 파악에 나섰다.
이번엔 문제가 된 건 지난 1월부터 카카오톡 대화창에 도입된 ‘웸페이지 주소(URL) 미리보기’ 기능이다. 예를 들어 지인과 모임 장소를 얘기하면서 식당 홈페이지 주소를 대화창에 입력하면 식당 홈페이지 첫화면 또는 로고가 카카오톡 대화창에 뜨는 식이다. 카카오는 서비스 시작이후 URL 미리보기에 입력된 주소들을 다음 검색에 표출시켜 온 것으로 확인됐다. 카카오톡이라는 사적인 대화 공간에서 공유된 웹페이지 주소를 공개적으로 노출한 것이다.
논란이 일자 카카오는 2일 공식 블로그와 트위터를 통해 “검색 결과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고, 카카오톡 대화나 이용자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웹주소만 사용하는 것이어서 문제라고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현재 카카오는 카카오톡으로 공유된 웹주소와 다음 검색 연동을 바로 중단한 상태다.
그러나 정부가 사실조사에 착수함에 따라 사태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방통위 관계자는 “약관에 관련 내용을 넣었는지, 통신과 관련해 어떤 법을 위반한 건지 등에 대해 미래부와 논의에 들어갔다”며 “향후 추이를 지켜보고 조치를 내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