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참패 50일만에 지도부 구성한 새누리당, 쇄신보다 갈등 봉합 초점 분석도

입력 2016-06-02 16:06

새누리당이 김희옥 전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을 수장으로 하는 혁신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완료했다. 4·13 총선 참패 이후 50일 만에 가까스로 지도부 공백을 메우면서 당 쇄신 작업에도 돛을 올릴 수 있게 됐다.

이번 비대위는 강성 비박(비박근혜)계 위주의 구성이 한 차례 무산된 뒤 탄생하는 아픔을 겪었고, 위원구성도 계파 안배가 이뤄지면서 쇄신보다는 갈등 봉합에 초점을 맞춘 ‘관리형 임시 지도부’라는 평가도 나왔다.

김 위원장은 2일 당 전국위원회 의결 뒤 가진 위원장직 수락 연설에서 “비상대책위 앞에 혁신이라는 두 글자가 더 붙어 있다는 건 당명만 빼고는 모두 다 바꿔야 한다는 절박감을 의미한다”며 “왜 이렇게 됐는지 철저히 반성하고 이를 고치는 혁신을 통해 다시 일어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정략적 파당과 이로 인한 갈등은 국민이 바라는 정치의 모습이 아니다”며 “퇴행적 모습(계파 갈등)이 분명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반성하고 고쳐야 한다. 민생·통합·혁신은 다음 대선을 향한 새누리당의 키워드가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새누리당은 전국위 회의 뒤 곧바로 상임전국위를 열어 김 위원장이 내정한 10명의 비대위원을 의결했다. 비대위원은 당내 인사 5명, 당외 인사 5명 동수로 구성됐다. 정진석 원내대표, 김광림 정책위의장, 홍문표 사무총장 권한대행은 당연직 원내 인사로 포함됐고 3선의 비박계 김영우(경기 포천·가평) 친박(친박근혜)계 이학재(인천 서갑) 의원이 추가로 임명됐다.

김 의원과 이 의원은 20대 총선 직후 친박(친박근혜)계 2선 후퇴를 주장했던 당 혁신모임 멤버였다. 새누리당 지지세가 약한 수도권을 지역구로 두고 있으면서 계파 내에서는 비교적 온건하다는 평가를 받는 공통점이 있다. 혁신 이미지를 쌓으면서도 계파 입장을 적절히 반영한 셈이다. 정 원내대표가 내정했던 이혜훈·김세연·이진복·홍일표·정운천 의원과 한기호 전 의원은 제외됐고 김영우 의원만 유지됐다. 김 의원은 정 원내대표와 대학 동문이고 언론사 선후배 사이다.

외부 인사로는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와 유병곤 전 국회 사무차장, 정승 전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민세진 동국대 교수, 임윤선 변호사가 참여했다. 오 교수는 한국은행 출신으로 한국국제금융학회 회장과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등을 지낸 금융 전문가다. 유 전 사무차장은 현재 국회 정치쇄신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고 정 전 처장은 농림·식품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정 전 차장은 지난해 3월 식약처장 임기를 마치고 4·29 재·보선에 새누리당 후보로 광주 서을에 출마했다지만 낙선했다. ‘워킹 맘’인 민 교수는 여성 복지·경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해왔고, 임 변호사는 종편 등에 출연해 인지도가 있다.

김 위원장은 조만간 비대위 첫 회의를 열고 당의 쇄신작업과 8월 예정된 전당대회 준비를 위한 실무작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당장 무소속 의원들의 복당 문제도 비대위의 논의 대상이다. 김영우 의원은 전국위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복당문제를 보류하면 계파문제나 혁신문제를 시작하기 어렵지 않겠나 생각한다. 비껴날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총선에서 나타난 민심은 결국 공천파동이었고, 따지고 보면 ‘유승민 공천파동’”이라며 “선별복당을 한다면 앞으로 이야기할 혁신에 대해 국민이 믿어줄지 의문이 든다”고 강조했다.

전웅빈 권지혜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