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이 주도해 지역 정체성에 맞는 맞춤형 도시재생사업을 할 수 있도록 100~500억원의 마중물 사업비를 지원받는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후보지가 가려졌다.
서울시는 경제기반형 1곳,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 7곳, 근린재생 일반형 희망지 20곳 등 28곳의 2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후보지를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시는 이들 후보지의 주민 참여 준비단계를 거쳐 사업 실현가능성, 추진주체의 역량 등을 종합 평가해 2017년에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경제기반형 후보지는 광역 차원의 신 경제거점으로의 가능성을, 중심시가지형 후보지는 역사문화특화 및 도심 활성화 중심지로의 잠재력을 가진 지역을 각각 대상으로 심사했다. 또 근린재생 일반형 희망지는 지속적인 인구감소, 고령화 등으로 쇠퇴했으나 문화·복지, 상권회복 가능성 등 잠재력을 보유한 지역, 주민스스로 지역자원 발굴·활용을 통해 주거환경의 질 향상, 주민공동체 활성화 등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한 노후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선발했다.
경제기반형 후보지(최대 500억원 지원) 1곳은 영등포 경인로 지역(영등포구)이다. 중심시가지형 후보지(최대 200억원 지원) 7곳은 정동 일대(중구), 동묘지역 일대(종로구), 마장동 일대(성동구), 용산전자상가 일대(용산구), 독산동 우시장 부지(금천구), 청량리·제기동 일대(동대문구), 4·19 사거리(강북구) 일대다. 근린재생 일반형 희망지(최대 100억원 지원) 20곳은 도시재생활성화사업 희망지(규모 10만㎡ 이상, 1~3개 행정동 범위) 15곳, 주거환경관리사업 희망지(규모 10만㎡ 미만, 1개 행정동 범위) 5곳으로 구분된다.
선정된 20개 희망지에는 올해 하반기에 1곳당 8000만원~1억2000만원이 지원된다. 이를 기반으로 주민대상 도시재생 교육 및 홍보,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민 공모사업, 지역의제 발굴 및 기초조사 등 주민참여 강화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아울러 2017년 활성화지역으로 최종 선정되지 않은 후보지와 희망지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해 주민 참여 분위기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그동안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참여 기반과 공감대가 부족한 상황에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 지정돼 사업이 일부 더디게 진행되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후보지 및 희망지 사업을 통해 주민 등 사업 주체들이 충분한 준비기간을 갖게 됨으로써 주민 주도의 서울형 도시재생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서울시, 2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후보지 28곳 선정
입력 2016-06-02 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