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이 이르면 3일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 구성을 완료하고 본격적으로 전국 조직 체계 다지기에 나선다. 4·13 총선 승리에 ‘혁혁한’ 공을 세우고도 주요 당직에서 ‘물 먹은’ 호남 인사들과 대권 행보에 뛰어든 ‘안철수계’의 갈등이 봉합될 지가 관심사다. 또 당 내에서 “없는 당을 있다고 하고 선거를 치렀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허술했던 조직 체계를 대선을 앞두고 얼마나 정비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기대반 우려반’ 시선이 교차하고 있다.
국민의당 조강특위 위원장을 맡을 김영환 사무총장은 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최고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3일 쯤엔 구성이 될 거라고 본다. 이미 많이 늦은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의당은 지난달 30일 조강특위 구성 관련 당규 제정을 마쳤다. 당규에 따르면 위원회는 사무총장과 수석·조직 사무부총장 등을 당연직으로 포함해 11명 이내로 구성된다. 김 위원장은 “이미 위원 후보들에 대해 리스트를 작성하고 있고 마무리 단계”라며 “최고위원회 논의를 거쳐 위원 선임이 되면 회의도 하고 본격적으로 조직 강화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조강특위는 지역위원장 선정과 당원 모집 등 조직 정비 전반에 대해 전권을 행사한다. 조직이 ‘없는’ 상황에서 총선을 치른 데다 전당대회와 대선을 앞두고 있어 국민의당은 재창당 수준의 정비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조강특위 위원 선임 과정이 당내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안철수계’로 분류되는 인사들이 위원으로 대거 선임될 경우 당직 인사에서 고배를 마신 호남 인사들의 반발이 제기될 수 있다는 얘기다. 한쪽 계파의 인사들로 위원회가 채워질 경우 지역위원장 선정 과정에서 잡음이 나올 수도 있다.
국민의당은 최근 당직 인사 때 사무총장 등 주요 당직에 비호남 인사들을 중용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서는 “사실상 안철수 공동대표 인사들로 채워진 것”이라는 반발이 나왔다. 김 위원장이 ‘안철수계’로 분류되는 인사들을 조강특위 위원들로 임명할 경우 ‘안철수 사당’ 논란이 더 거세질 수도 있다. 지역위원장은 각 지역의 대의원과 당원을 임명·모집할 권한이 있다. 누가 지역위원장이 되느냐에 따라 당권과 대권 후보의 향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조강특위가 ‘경쟁력 있는 지역 조직’을 강조하며 대대적인 지역위원장 교체를 시사하자 파열음이 터져 나왔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사당 논란을 종식하기 위해서라도 공정하게 위원 선임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총선서 승리하고도 당직 물먹은 호남파, 대권 행보 안철수계 갈등 터질까
입력 2016-06-01 1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