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3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2013년 1월 성수역, 2015년 8월 강남역과 너무나 닮은꼴 사고였습니다"라고 했다.
심 대표는 "‘2인1조 작업’ 등 회사가 이전 사고 이후 내놓았던 대책인데, 이것이 제대로 지켜지고 안전규정만 지켜졌더라도 일어나지 않았을 사고였습니다"라고 했다.
심 대표는 "사실 이런 규정 자체가 49개 역의 스크린도어를 용역직원 6명이 책임지는 상황에서는 애당초 지킬 수 없는 것이었다고 봅니다"라고 했다. 이어 "막을 수 있었기에, 그러나 막으려 하지 않았기에, 이번 죽음은 불운한 개인의 사고가 아닙니다. 사회적 타살입니다"라고 했다.
심 대표는 "그래서 이번 죽음을 고인의 과실로 몰아가거나, 안전 불감증의 문제로 어물쩍 넘겨서는 안 됩니다"라며 "그래서는 더 이상 대한민국에 답이 없습니다"라고 했다.
이어 "이제라도 참극을 양산하는, 잘못돼도 단단히 잘못된 우리 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꿔야 합니다"라며 "지금 정부가 해야 할 구조조정은 노동자 자르는 구조조정이 아니라 노동자들의 생명을 존중하고, 땀의 가치를 보장하는 그런 구조조정입니다"라고 했다.
그는 "국가는 기업의 이윤보다,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존재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라며 "저희 정의당은 유해 · 위험작업의 정규직채용을 의무화하는 법안 등을 시급히 준비하고 제출할 예정입니다.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에게 깊은 위로를 전합니다"라고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