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까지 전국 624개 읍?면?동에 ‘복지 사각지대’ 이웃을 촘촘하게 찾아내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복지팀’이 설치된다.
보건복지부와 행정자치부는 33개 선도지역에 이어 올해 591개 읍?면?동 주민센터에 지역 주민의 복지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맞춤형 복지팀’이 설치돼 운영된다고 31일 밝혔다.
591개 중 458개 읍·면·동은 ‘기본형’ 복지 허브 모델이다. 신청?접수 위주의 기존 복지 서비스 외에 ‘맞춤형 복지 업무’를 담당할 팀이 새로 꾸려진다. 133개 읍?면?동은 ‘권역형 모델’의 중심동으로서 주변 일반 동 291개까지 포함해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난 3월 복지 허브화를 먼저 시작한 곳까지 포함하면 올해 전체 읍?면?동의 27%(933곳)의 주민이 찾아가는 상담, 맞춤형 통합 지원 등을 받게 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본격적 맞춤형 서비스를 시작한지 3개월이 채 안됐지만 벌써부터 장애인이 오랫동안 연락 끊겼던 가족을 되찾고, 붕괴 직전의 무허가 주택에 살던 장애 가족이 새로운 주거지를 찾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올해말까지 624개 읍면동에 '맞춤형 복지팀' 신설된다
입력 2016-05-31 15:05